Comparing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Eojeols in Adults Who Stutter

Q3 Medicine
HeeCheong Chon
{"title":"Comparing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Eojeols in Adults Who Stutter","authors":"HeeCheong Chon","doi":"10.21848/ASR.200089","DOIUrl":null,"url":null,"abstract":"발달성 말더듬(이하 말더듬)은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 지지 않은 말장애이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말더듬의 원인과 진전(지속과 회복),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유전, 언어, 말운동통제, 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이 말더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Felsenfeld et al., 2000; Ludlow & Loucks, 2003; Postma & Kolk, 1993; Yairi & Ambrose, 2005; Yairi et al., 1996).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 로 하여 말더듬은 다요인적인 관점에서 설명되기도 한다. 즉, 하나 의 단일 요인 때문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말더듬이 시작되고 진전된다는 것이다(Smith & Kelly, 1997). 심리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비유창성을 설명한 내적수정가설 (covert repair hypothesis) (Kolk & Postma, 1997; Postma & Kolk, 1993)은 화자가 발화를 산출하기 전에 내면적 감독과정 (internal monitoring process)을 통해 자신이 계획한 메시지에 음운적, 구문적, 의미적 측면의 오류가 있는지 감시하게 되며, 오류가 감지될 경우 내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말을 산출 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때 내적으로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으로 인해 비유창성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말더듬는 사람 은 자신이 산출하고자 하는 발화의 언어형식 구성 단계(formulation stage)에서 이루어지는 음운적 부호화(phonological encoding)가 비정상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음운 목표를 찾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며, 음성계획(phonetic plan) 과정에서 오 류가 더 많이 발생하고 감지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 를 내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이 일반인에 비해 빈번하고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비유창성 또한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Postma & Kolk, 1993). 또한 길고 복잡한 혹은 발음하기 어려 운 발화를 산출할 때 음성계획 과정에서 더 많은 오류가 발생하 고 감지되어 비유창성 또한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였다(Kolk & Postma, 1997). 이와 관련하여 말더듬 장애의 핵심적인 자질인 ‘진성비유창성(stuttering-like disfluency, SLD)’과 구문적 측 면과의 관련성을 살핀 선행연구들은 말더듬 아동 및 성인의 발 Comparing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Eojeols in Adults Who Stutter","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48 1","pages":"52-59"},"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1-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48/ASR.20008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발달성 말더듬(이하 말더듬)은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이 밝혀 지지 않은 말장애이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말더듬의 원인과 진전(지속과 회복),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유전, 언어, 말운동통제, 환경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이 말더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Felsenfeld et al., 2000; Ludlow & Loucks, 2003; Postma & Kolk, 1993; Yairi & Ambrose, 2005; Yairi et al., 1996).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 로 하여 말더듬은 다요인적인 관점에서 설명되기도 한다. 즉, 하나 의 단일 요인 때문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말더듬이 시작되고 진전된다는 것이다(Smith & Kelly, 1997). 심리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비유창성을 설명한 내적수정가설 (covert repair hypothesis) (Kolk & Postma, 1997; Postma & Kolk, 1993)은 화자가 발화를 산출하기 전에 내면적 감독과정 (internal monitoring process)을 통해 자신이 계획한 메시지에 음운적, 구문적, 의미적 측면의 오류가 있는지 감시하게 되며, 오류가 감지될 경우 내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말을 산출 하게 된다고 보았다. 이때 내적으로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으로 인해 비유창성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말더듬는 사람 은 자신이 산출하고자 하는 발화의 언어형식 구성 단계(formulation stage)에서 이루어지는 음운적 부호화(phonological encoding)가 비정상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음운 목표를 찾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며, 음성계획(phonetic plan) 과정에서 오 류가 더 많이 발생하고 감지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 를 내적으로 수정하는 과정이 일반인에 비해 빈번하고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비유창성 또한 더 빈번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Postma & Kolk, 1993). 또한 길고 복잡한 혹은 발음하기 어려 운 발화를 산출할 때 음성계획 과정에서 더 많은 오류가 발생하 고 감지되어 비유창성 또한 증가될 것으로 예측하였다(Kolk & Postma, 1997). 이와 관련하여 말더듬 장애의 핵심적인 자질인 ‘진성비유창성(stuttering-like disfluency, SLD)’과 구문적 측 면과의 관련성을 살핀 선행연구들은 말더듬 아동 및 성인의 발 Comparing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Eojeols in Adults Who Stutter
成人口吃流利与不流利英语语音复杂程度的比较
发展性口吃(以下简称口吃)是一种尚未查明确切原因的语言障碍。研究者们从不同的角度研究口吃的原因、进展(持续与恢复)和特性,并报告诸如遗传、语言、语言运动控制和环境等各种因素可能影响口吃(Felsenfeld et al., 2000;ludlow & loucks, 2003;postma & kolk, 1993;yairi & ambrose, 2005;yairi et al ., 1996)。根据这些研究结果,口吃也可以从多种因素的观点进行说明。也就是说,不是因为一个单一的因素,而是由于多种因素的相互作用,开始结语并取得进展(Smith & Kelly, 1997)。从心理语言学的角度解释非衍生性的内在修正假说(covert repair hypothesis), kolk&postma, 1997;postma & kolk, 1993)算出是叙述者起火前,内在监督(internal粮食process)通过自己的讯息,这个计划在音韵、回扣、语义层面的监视是否有错误,若察觉出错误内在经过修改的过程中,把话说得算出看见的。他认为这是一个内在的修正错误的过程。特别是口吃的人是自己计算,起火的语言构成阶段(formulation stage)在音韵编码(phonological encoding)非正常慢,所以音韵寻找目标需要更多的时间,在语音计划(phonetic plan)过程中探测到的更多发生奥类。因此,在内部修正这些错误的过程比一般人要频繁,在这些过程的结果中,非创造性也表现得更加频繁(Postma & Kolk, 1993)。此外,当计算出长而复杂或难以发音的发音时,在语音规划过程中会发生更多的错误并被感知,从而增加非发声能力(Kolk & Postma, 1997)。与此相关,研究口吃儿童和成人脚部Comparing Phonetic Complexity between Fluent and Disfluent Eojeols in Adults Who Stutter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Medicine-Otorhinolaryngology
CiteScore
0.70
自引率
0.00%
发文量
29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