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Aminopeptidase Retentate Fraction from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Obtained by Ultrafiltration, and Its Lowering the Bitterness

Kim, Jin Soo, Jung‐Suck Lee, In Seong Yoon, S. Kang, Sun-Young Park, U. Jeong, Heu Min-Soo
{"title":"Characteristics of Aminopeptidase Retentate Fraction from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Obtained by Ultrafiltration, and Its Lowering the Bitterness","authors":"Kim, Jin Soo, Jung‐Suck Lee, In Seong Yoon, S. Kang, Sun-Young Park, U. Jeong, Heu Min-Soo","doi":"10.5657/KFAS.2020.0112","DOIUrl":null,"url":null,"abstract":"오징어는 우리나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소 비가 이루어지는 수산자원이다. 이들은 소비자들에게 아미노 산, 무기질, 비타민 등 풍부한 영양성분, 타우린 및 콜라겐 등과 같은 건강기능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근육의 특성상 어류 와는 다른 특유의 조직감과 식미를 가지고 있어 선호도가 높은 수산 식품이다(Kim et al., 1997). 오징어의 주요 가식부인 근육 을 제외하면, 가공부산물로서 간췌장, 중장선, 껍질, 지느러미, 뼈, 먹물 등은 콜라겐, 지방, 무기질, 유리아미노산, 효소와 같 은 유용성분이 풍부하며, 전체 중량의 약 40%가 가공 중에 발 생한다. 특히 간췌장 및 중장선과 같은 오징어 내장은 효소자원 을 추출하기 좋은 자원이다. 그러나 이들 오징어 내장은 주로 사료용의 어분이나 비료로서 일부 사용되지만, 대부분은 무단 폐기되고 있어, 환경오염 유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들 가공부산물의 유용성분을 활용하려는 노력 없이 단순폐기 로 야기되는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고부가가치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Ono et al., 2004; Kim et al., 2012a). 한편, 연 살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췌장 유래 한외여과 Aminopeptidase Retentate Fraction의 특성과 쓴맛 개선효과","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9 1","pages":"112-122"},"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11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오징어는 우리나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소 비가 이루어지는 수산자원이다. 이들은 소비자들에게 아미노 산, 무기질, 비타민 등 풍부한 영양성분, 타우린 및 콜라겐 등과 같은 건강기능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근육의 특성상 어류 와는 다른 특유의 조직감과 식미를 가지고 있어 선호도가 높은 수산 식품이다(Kim et al., 1997). 오징어의 주요 가식부인 근육 을 제외하면, 가공부산물로서 간췌장, 중장선, 껍질, 지느러미, 뼈, 먹물 등은 콜라겐, 지방, 무기질, 유리아미노산, 효소와 같 은 유용성분이 풍부하며, 전체 중량의 약 40%가 가공 중에 발 생한다. 특히 간췌장 및 중장선과 같은 오징어 내장은 효소자원 을 추출하기 좋은 자원이다. 그러나 이들 오징어 내장은 주로 사료용의 어분이나 비료로서 일부 사용되지만, 대부분은 무단 폐기되고 있어, 환경오염 유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 들 가공부산물의 유용성분을 활용하려는 노력 없이 단순폐기 로 야기되는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고부가가치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Ono et al., 2004; Kim et al., 2012a). 한편, 연 살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췌장 유래 한외여과 Aminopeptidase Retentate Fraction의 특성과 쓴맛 개선효과
超滤法提取鱿鱼肝胰脏氨基肽酶保留物的特性及其降苦作用
鱿鱼是包括韩国、日本在内的亚洲消耗最多的水产资源。对消费者来说,它们含有大量的氨基酸、无机物、维生素等丰富的营养成分,牛磺酸及胶原蛋白等健康功能成分,在肌肉的特性上,具有与鱼类不同的特有的组织感和口感,是非常受欢迎的水产食品(Kim et al., 1997)。除鱿鱼的主要胃部肌肉外,作为加工副产品,肝胰腺、中肠、皮、鳍、骨、墨汁等含有丰富的胶原蛋白、脂肪、无机物、游离氨基酸、酶等有用成分,约40%的重量在加工中产生。特别是肝胰腺及中肠等鱿鱼内脏是很好地提取酶资源的资源。但是,这些鱿鱼内脏主要被用作饲料中的一部分鱼粉和肥料,但大部分被擅自废弃,成为引发环境污染的原因。因此,在不努力利用这些加工副产品的有用成分的情况下,应该在减少单纯废弃引起的环境污染的同时,摸索高附加值的活用方案(Ono et al., 2004;kim et al ., 2012a)。另一方面,软骨乌贼(Todarodes pacificus)肝胰腺由来的外滤Aminopeptidase Retentate Fraction的特性和苦味改善效果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