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un-Hyo Kim, Yeon-Woo Lee, Jae Gyeong Ryu, Soon-bok Kwon
{"title":"A Comparative Study on Vowel Space Characteristics in Normal and Motor Speech Disorder Groups","authors":"Geun-Hyo Kim, Yeon-Woo Lee, Jae Gyeong Ryu, Soon-bok Kwon","doi":"10.15724/JSLHD.2021.30.2.051","DOIUrl":null,"url":null,"abstract":"다양한 형태의 대뇌손상은 실어증, 마비말장애, 실행증 등을 유 발하게 된다. 실어증은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마비말장애, 실행증은 말운동장애(motor speech disorder) 혹은 말장애 (speech disorder)로 분류된다. 이 중 말운동장애는 대뇌의 손상 위치, 유형에 따라 조음기관의 과소, 과다긴장으로 인해 조음 오류 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Duffy, 2019). 이러한 대상자들의 말운동장애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음향학적 분석, 말 명료도 분석, 자·모음 정확도 등이 있다(Kim et al., 2011; Lansford & Liss, 2014; Weismer et al., 2001).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말 명료도 분석이 있으며 말 명료도는 화자의 말을 상대방이 얼마 나 잘 이해하였는지를 반영해준다(Gentil, 1992; Scholderle et al., 2016; Ziegler & Zierdt, 2008). 말 명료도 평가는 발화 문","PeriodicalId":43000,"journal":{"name":"Speech Language and Hearing","volume":"79 1","pages":"51-59"},"PeriodicalIF":1.0000,"publicationDate":"2021-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peech Language and Hearin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24/JSLHD.2021.30.2.0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AUDIOLOGY & SPEECH-LANGUAGE PATHOLOGY","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다양한 형태의 대뇌손상은 실어증, 마비말장애, 실행증 등을 유 발하게 된다. 실어증은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마비말장애, 실행증은 말운동장애(motor speech disorder) 혹은 말장애 (speech disorder)로 분류된다. 이 중 말운동장애는 대뇌의 손상 위치, 유형에 따라 조음기관의 과소, 과다긴장으로 인해 조음 오류 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Duffy, 2019). 이러한 대상자들의 말운동장애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음향학적 분석, 말 명료도 분석, 자·모음 정확도 등이 있다(Kim et al., 2011; Lansford & Liss, 2014; Weismer et al., 2001).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말 명료도 분석이 있으며 말 명료도는 화자의 말을 상대방이 얼마 나 잘 이해하였는지를 반영해준다(Gentil, 1992; Scholderle et al., 2016; Ziegler & Zierdt, 2008). 말 명료도 평가는 발화 문
多种形态的大脑损伤会诱发失语症,麻痹语言障碍,实行症等。失语症分为语言障碍(language disorder)、麻痹语言障碍(麻痹语言障碍)、行动症分为语言运动障碍(motor speech disorder)或语言障碍(speech disorder)。其中语言运动障碍根据大脑损伤位置、类型的不同,会因调音器官过少、过度紧张而发生调音错误(Duffy, 2019)。评价这些对象的语言运动障碍的方法有声学分析、语言明了度分析、字母音准确度等(Kim et al., 2011;lansford & liss, 2014;weismer et al ., 2001)。作为广泛使用的代表性方法,有话明确性分析,话明确性反映对方对说话者的话理解的程度(Gentil, 1992;scholderle et al ., 2016;ziegler & zierdt, 2008)。评价说话的清晰度是发火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