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iterature Review on Communication Levels to Develop Language-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iagnostic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Q3 Medicine
Sangeun Shin, Hyunju Park
{"title":"A Literature Review on Communication Levels to Develop Language-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iagnostic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authors":"Sangeun Shin, Hyunju Park","doi":"10.21848/ASR.200085","DOIUrl":null,"url":null,"abstract":"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사람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을 통해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평가단계에서 이들의 의사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 운동, 인지, 언어능력에 대한 평가 와 함께 AAC 도구 사용 능력에 대한 세부 평가가 종합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Beukelman & Mirenda, 2013). 일반적으로 언 어병리학의 평가(assessment) 과정에 진단 단계(diagnosis phase)가 수반되는 것과 같이(Darley, 1991; Peterson & Marquardt, 1994), 그 한 분야인 AAC 또한 평가 후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대상자의 현재 의사소통 수준을 파악하고, 현재와 미래에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중요한 나 침반 역할을 하게 된다(Dodd & Gorey, 2014). 아울러 진단은 대상자의 의사소통 수준이 계획한 AAC 중재를 통해 어느 정 도 향상되었는가를 중재 전-후의 비교를 통해 알려주는 지표 로도 활용될 수 있기에 임상 현장에서 차지하는 그 중요성이 작지 않다.","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38 1","pages":"15-2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1-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48/ASR.20008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사람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을 통해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평가단계에서 이들의 의사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 운동, 인지, 언어능력에 대한 평가 와 함께 AAC 도구 사용 능력에 대한 세부 평가가 종합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Beukelman & Mirenda, 2013). 일반적으로 언 어병리학의 평가(assessment) 과정에 진단 단계(diagnosis phase)가 수반되는 것과 같이(Darley, 1991; Peterson & Marquardt, 1994), 그 한 분야인 AAC 또한 평가 후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대상자의 현재 의사소통 수준을 파악하고, 현재와 미래에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중요한 나 침반 역할을 하게 된다(Dodd & Gorey, 2014). 아울러 진단은 대상자의 의사소통 수준이 계획한 AAC 중재를 통해 어느 정 도 향상되었는가를 중재 전-후의 비교를 통해 알려주는 지표 로도 활용될 수 있기에 임상 현장에서 차지하는 그 중요성이 작지 않다.
韩国基于语言的辅助和替代交际诊断分类体系的交流层次研究综述
为了给具有综合性沟通要求的人通过补充和替代沟通(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提供有效的仲裁,在评价阶段对他们的沟通产生影响的感觉、运动、认知、在对语言能力进行评估的同时,还应对AAC工具使用能力进行全面评估(Beukelman & Mirenda, 2013)。一般来说,在病理学的评价(assessment)过程中伴随着诊断阶段(Darley, 1991);Peterson & Marquardt, 1994), AAC在评估后做出正确的诊断,将对掌握对象目前的沟通水平,并具备当前和未来需要的沟通能力起到重要的作用(Dodd & Gorey, 2014)。同时,诊断还可以作为通过仲裁前后的比较,告知对象的沟通水平通过计划的AAC仲裁提高了什么程度的指标,因此在临床现场占据的重要性不小。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Medicine-Otorhinolaryngology
CiteScore
0.70
自引率
0.00%
发文量
29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