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iterature Review on Communication Levels to Develop Language-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iagnostic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title":"A Literature Review on Communication Levels to Develop Language-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iagnostic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authors":"Sangeun Shin, Hyunju Park","doi":"10.21848/ASR.200085","DOIUrl":null,"url":null,"abstract":"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사람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을 통해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평가단계에서 이들의 의사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 운동, 인지, 언어능력에 대한 평가 와 함께 AAC 도구 사용 능력에 대한 세부 평가가 종합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Beukelman & Mirenda, 2013). 일반적으로 언 어병리학의 평가(assessment) 과정에 진단 단계(diagnosis phase)가 수반되는 것과 같이(Darley, 1991; Peterson & Marquardt, 1994), 그 한 분야인 AAC 또한 평가 후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대상자의 현재 의사소통 수준을 파악하고, 현재와 미래에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중요한 나 침반 역할을 하게 된다(Dodd & Gorey, 2014). 아울러 진단은 대상자의 의사소통 수준이 계획한 AAC 중재를 통해 어느 정 도 향상되었는가를 중재 전-후의 비교를 통해 알려주는 지표 로도 활용될 수 있기에 임상 현장에서 차지하는 그 중요성이 작지 않다.","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38 1","pages":"15-28"},"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1-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848/ASR.20008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Medicin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사람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을 통해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평가단계에서 이들의 의사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감각, 운동, 인지, 언어능력에 대한 평가 와 함께 AAC 도구 사용 능력에 대한 세부 평가가 종합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Beukelman & Mirenda, 2013). 일반적으로 언 어병리학의 평가(assessment) 과정에 진단 단계(diagnosis phase)가 수반되는 것과 같이(Darley, 1991; Peterson & Marquardt, 1994), 그 한 분야인 AAC 또한 평가 후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대상자의 현재 의사소통 수준을 파악하고, 현재와 미래에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중요한 나 침반 역할을 하게 된다(Dodd & Gorey, 2014). 아울러 진단은 대상자의 의사소통 수준이 계획한 AAC 중재를 통해 어느 정 도 향상되었는가를 중재 전-후의 비교를 통해 알려주는 지표 로도 활용될 수 있기에 임상 현장에서 차지하는 그 중요성이 작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