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pplication Plans for Speaking Assessment Methods","authors":"Park Chang-gyoon, Jungwoo Lee","doi":"10.18625/jsc.2019..43.1","DOIUrl":null,"url":null,"abstract":"미시발생적 방법은 단기간 및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집중적인 관찰을 통해 능력, 지식, 이해, 정서, 신체적 행동, 사회성 등에서의 변화를 연구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연구방법이다. 변화의 결과보다는 과정을 탐구하려는 연구자들에 의해 발전되기 시작했던 미시발생적 방법은 변화의 ‘경로’, ‘변화율’, ‘폭’, ‘다양성’, ‘원천’을 관해 기술할 수 있는 방법으로...","PeriodicalId":83500,"journal":{"name":"Western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 WJSC","volume":"2 1","pages":"1-24"},"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Western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 WJSC","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625/jsc.2019..43.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미시발생적 방법은 단기간 및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서 집중적인 관찰을 통해 능력, 지식, 이해, 정서, 신체적 행동, 사회성 등에서의 변화를 연구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연구방법이다. 변화의 결과보다는 과정을 탐구하려는 연구자들에 의해 발전되기 시작했던 미시발생적 방법은 변화의 ‘경로’, ‘변화율’, ‘폭’, ‘다양성’, ‘원천’을 관해 기술할 수 있는 방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