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First Record of Lumpenopsis pavlenkoi Soldatov, 1916 (Pisces: Stichaeidae) Collected from Gosung, Gangwon Province, Korea","authors":"Hye-Lyang Lee, S. Lee, Jin-Koo Kim","doi":"10.5657/KFAS.2020.0960","DOIUrl":null,"url":null,"abstract":"농어목(Perciformes) 장갱이과(Stichaeidae) 어류는 전 세계 적으로 35속 71종이 보고되어 있고(Fricke et al., 2020), 국내 에는 14속 24종이 보고되어 있다(MABIK, 2019). 장갱이과 어 류는 북태평양의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냉수성 어종으로, 보통 조간대 또는 수심이 얕은 만의 바위나 해조류 사이에 서식한다 (Mecklenburg et al., 2007). 장갱이과 어류는 체형이 길고 측 편되며 등지느러미가 극조로만 이루어진 종도 있다. 뒷지느러 미 기점은 꼬리지느러미 기점보다 주둥이 끝에 가까우며, 일부 종에서는 배지느러미가 없는 경우도 있다(Soldatov, 1916; Tomoyuki et al., 2012; Nelson, 2016). 장갱이과 어류 중에서 Lumpenopsis 속은 배지느러미가 있고, 머리에 피판(Cirrus)과 체측 측선이 없고, 가슴지느러미가 항문 에 이르지 못하는 점 등에서 다른 속과 잘 구분된다(Follett and Powell, 1988; Posner and Lavenberg, 1999; Hatooka, 2013). 또한, Lumpenus속과 유사하지만, 본 속은 좌우 아가미막이 유 합되어 협부와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Soldatov, 1916). Lumpenopsis 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4종(L. clitella, L. hypochroma, L. pavlenkoi, L. triocellata)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L. clitella (Hastings and Walker, 2003)와 L. hypochroma (Hubbs and Schultz, 1932)는 북동태평양에 분포하 며, L. pavlenkoi (Soldatov, 1916)와 L. triocellata (Matsubara, 1943)는 북서태평양에 분포한다(Hastings and Walker, 2003; Fricke et al., 2020).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이 속의 출현 기록이 전혀 없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 최북단인 강원도 고성에서 채집된 장갱이과 어류 1개체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형태 특징에 의거 Lumpenopsis pavlenkoi로 동정되었으며, 분자분석 결과도 이 를 잘 지지해 주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처음 채집된 L. pavlenkoi의 형태 및 분자 특징을 상세히 제공하고, 새로운 국명을 제 안하고자 한다. 한국 강원도 고성에서 채집된 장갱이과 어류 1미기록종 Lumpenopsis pavlenkoi Soldatov, 1916 이혜량·이수정·김진구*","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3 1","pages":"960-964"},"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657/KFAS.2020.096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농어목(Perciformes) 장갱이과(Stichaeidae) 어류는 전 세계 적으로 35속 71종이 보고되어 있고(Fricke et al., 2020), 국내 에는 14속 24종이 보고되어 있다(MABIK, 2019). 장갱이과 어 류는 북태평양의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냉수성 어종으로, 보통 조간대 또는 수심이 얕은 만의 바위나 해조류 사이에 서식한다 (Mecklenburg et al., 2007). 장갱이과 어류는 체형이 길고 측 편되며 등지느러미가 극조로만 이루어진 종도 있다. 뒷지느러 미 기점은 꼬리지느러미 기점보다 주둥이 끝에 가까우며, 일부 종에서는 배지느러미가 없는 경우도 있다(Soldatov, 1916; Tomoyuki et al., 2012; Nelson, 2016). 장갱이과 어류 중에서 Lumpenopsis 속은 배지느러미가 있고, 머리에 피판(Cirrus)과 체측 측선이 없고, 가슴지느러미가 항문 에 이르지 못하는 점 등에서 다른 속과 잘 구분된다(Follett and Powell, 1988; Posner and Lavenberg, 1999; Hatooka, 2013). 또한, Lumpenus속과 유사하지만, 본 속은 좌우 아가미막이 유 합되어 협부와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Soldatov, 1916). Lumpenopsis 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4종(L. clitella, L. hypochroma, L. pavlenkoi, L. triocellata)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L. clitella (Hastings and Walker, 2003)와 L. hypochroma (Hubbs and Schultz, 1932)는 북동태평양에 분포하 며, L. pavlenkoi (Soldatov, 1916)와 L. triocellata (Matsubara, 1943)는 북서태평양에 분포한다(Hastings and Walker, 2003; Fricke et al., 2020).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이 속의 출현 기록이 전혀 없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 최북단인 강원도 고성에서 채집된 장갱이과 어류 1개체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형태 특징에 의거 Lumpenopsis pavlenkoi로 동정되었으며, 분자분석 결과도 이 를 잘 지지해 주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처음 채집된 L. pavlenkoi의 형태 및 분자 특징을 상세히 제공하고, 새로운 국명을 제 안하고자 한다. 한국 강원도 고성에서 채집된 장갱이과 어류 1미기록종 Lumpenopsis pavlenkoi Soldatov, 1916 이혜량·이수정·김진구*
Perciformes、Stichaeidae、35属71种(Fricke et al., 2020)、14属24种(MABIK, 2019)。长坑科鱼类是一种冷水性鱼类,生活在北太平洋的冷水中,通常栖息在潮间带或浅水湾的岩石或海藻类之间(Mecklenburg et al., 2007)。长更科鱼类体型长,侧扁,背鳍极操的种类也有。后肢末端比尾鳍末端更靠近嘴尖,一些物种甚至没有腹鳍(Soldatov, 1916年;tomoyuki et al ., 2012;nelson, 2016)。在肠更科鱼类中,Lumpenopsis属有腹鳍,头部没有皮瓣和体侧线,胸鳍达不到肛门等与其他属有明显区别(Follett and Powell, 1988;posner and lavenberg, 1999;hatooka, 2013)。此外,它与Lumpenus属相似,但它与夹角是分开的,左右鳃膜合在一起(Soldatov, 1916)。Lumpenopsis在全世界有4种(L)。clitella, L. hypochroma, L. pavlenkoi, L. triocellata,其中L. clitella (Hastings and Walker, 2003)和L. hypochroma (Hubbs and Schultz, 1932)分布在东北太平洋,L. pavlenkoi (Soldatov,1916年)和L. triocellata (Matsubara, 1943年)分布于西北太平洋(Hastings and Walker, 2003年;fricke et al ., 2020)。但是,韩国目前还没有出现这一现象的记录。本研究对在韩国东海最北端江原道高城采集的一种长更科鱼类进行了缜密的分析,根据形态特征同情为Lumpenopsis pavlenkoi,分子分析结果也很支持这一研究。因此,将详细提供国内首次采集的L. pavlenkoi的形态及分子特征,并提出新的国名。在韩国江原道高城采集的长更科鱼类未记录种Lumpenopsis pavlenkoi Soldatov, 1916李惠良、李水晶、金镇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