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omparison of Phase-Screen-Generation Method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Atmospheric Turbulence","authors":"Dung T. Ha, V. Mai, Hoon Kim","doi":"10.3807/KJOP.2019.30.3.087","DOIUrl":null,"url":null,"abstract":"대기를 매개로 사용하는 광학 시스템의 경우 대기의 유동 적인 움직임에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공기의 움직임과 밀도의 변화는 미세한 굴절률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대기를 통과하는 빛의 전파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기를 전파하는 빛 신호는 빛살 원더링(beam wandering)과 신틸레 이션(scintillation) 등에 의하여 전파 경로가 변화하거나 공간 ‧ 시간적으로 빛의 세기가 변한다. 이러한 현상은 무선 광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키므로 전송 성능을 열화시킨다. 또한 천문학 및 원거리 광학적 이미지 센서에 서 관측 또는 감지하고자 하는 상의 선명도를 떨어뜨린다. 대기 채널은 물리적으로 매우 길고 클 뿐만 아니라 지역마 다 시간마다 대기의 특성이 변하므로 대기를 매개로 하는 광 학 시스템의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고 평가하기가 매 우 까다롭다. 또한 대기 채널을 임의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실험 결과가 다양한 대기 채널의 특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성능 특성이 널리 활용된다. 컴퓨터의 강력한 계산력을 활용하여 대기 난류를 모사함으로써 실제 실험을 대신하여 대기를 통과하는 빛 신 호의 왜곡을 분석할 수 있다. 대기 채널의 굴절률 변화가 야 기하는 빛 신호의 위상 변화는 위상판(phase screen)을 활용 하여 모사할 수 있다. 위상판은 대기에 의한 빛 신호의 랜덤 (random) 위상변화를 압축해 놓은 판으로서, 5 km의 대기 채 Comparison of Phase-Screen-Generation Method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Atmospheric Turbulence","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87-93"},"PeriodicalIF":0.1000,"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3","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7/KJOP.2019.30.3.0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OPTIC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Abstract
대기를 매개로 사용하는 광학 시스템의 경우 대기의 유동 적인 움직임에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공기의 움직임과 밀도의 변화는 미세한 굴절률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대기를 통과하는 빛의 전파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기를 전파하는 빛 신호는 빛살 원더링(beam wandering)과 신틸레 이션(scintillation) 등에 의하여 전파 경로가 변화하거나 공간 ‧ 시간적으로 빛의 세기가 변한다. 이러한 현상은 무선 광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키므로 전송 성능을 열화시킨다. 또한 천문학 및 원거리 광학적 이미지 센서에 서 관측 또는 감지하고자 하는 상의 선명도를 떨어뜨린다. 대기 채널은 물리적으로 매우 길고 클 뿐만 아니라 지역마 다 시간마다 대기의 특성이 변하므로 대기를 매개로 하는 광 학 시스템의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고 평가하기가 매 우 까다롭다. 또한 대기 채널을 임의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실험 결과가 다양한 대기 채널의 특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성능 특성이 널리 활용된다. 컴퓨터의 강력한 계산력을 활용하여 대기 난류를 모사함으로써 실제 실험을 대신하여 대기를 통과하는 빛 신 호의 왜곡을 분석할 수 있다. 대기 채널의 굴절률 변화가 야 기하는 빛 신호의 위상 변화는 위상판(phase screen)을 활용 하여 모사할 수 있다. 위상판은 대기에 의한 빛 신호의 랜덤 (random) 위상변화를 압축해 놓은 판으로서, 5 km의 대기 채 Comparison of Phase-Screen-Generation Method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Atmospheric Turbu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