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Impact of Latent Classes of Social Exclusion on the Loneliness of H-2 Visa Workers","authors":"Ja Hyun Shin, Yean Ryu","doi":"10.24301/mhsw.2023.09.51.3.54","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배제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을 구분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확인한 후, 유형별 외로움에 대한 영향력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2,124명의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데이터를 사용해 잠재계층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배제는 사회참여배제형, 사회관계배제형, 근로・경제배제형, 저배제형으로 유형화되었으며, 성별, 연령, 한국거주기간, 국적, 교육수준, 동거인원이 사회적 배제 유형의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참조집단을 사회관계배제형으로 설정한 후 외로움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배제 유형 중 근로・경제배제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외로움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PeriodicalId":92010,"journal":{"name":"Chongsin pogon kwa sahoe saop","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hongsin pogon kwa sahoe saop","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4301/mhsw.2023.09.51.3.5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배제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을 구분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확인한 후, 유형별 외로움에 대한 영향력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2,124명의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데이터를 사용해 잠재계층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배제는 사회참여배제형, 사회관계배제형, 근로・경제배제형, 저배제형으로 유형화되었으며, 성별, 연령, 한국거주기간, 국적, 교육수준, 동거인원이 사회적 배제 유형의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참조집단을 사회관계배제형으로 설정한 후 외로움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배제 유형 중 근로・경제배제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방문취업 이주노동자의 외로움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