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Evaluating Non-exhaust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in Feasibility Studies of Transportation Investment Projects","authors":"Justin S. Chang","doi":"10.7782/jksr.2023.26.8.604","DOIUrl":null,"url":null,"abstract":"비연소성 미세먼지란 자동차 내연기관 내 연료연소와 무관하게 만들어지는 미세먼지를 말한다. 비연소성 미세먼지에는 브레이크나 타이어 마모, 노면 마모, 노면 먼지의 재비산 등이 포함된다. 우리나라의 교통투자사업 타당성조사에서는 연소성 미세먼지만이 반영되고 있어, 미세먼지의 사회적 비용이 과소평가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조사를 위한 비연소성 미세먼지 계량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유럽 위원회의 권고안을 시공간 이전하여, 인구밀도별 미세먼지 비용 원단위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비연소성 미세먼지 배출량을 총주행거리로 나누어 비연소성 미세먼지 배출계수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을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안양 연장(안)을 대상으로 모의실험한 결과, 전체 환경편익이 약 15% 정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소평가 되어온 환경편익의 현실화는 물론 신중한 교통기반시설 투자 결정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3759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782/jksr.2023.26.8.60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4","JCRName":"Social Sciences","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비연소성 미세먼지란 자동차 내연기관 내 연료연소와 무관하게 만들어지는 미세먼지를 말한다. 비연소성 미세먼지에는 브레이크나 타이어 마모, 노면 마모, 노면 먼지의 재비산 등이 포함된다. 우리나라의 교통투자사업 타당성조사에서는 연소성 미세먼지만이 반영되고 있어, 미세먼지의 사회적 비용이 과소평가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조사를 위한 비연소성 미세먼지 계량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유럽 위원회의 권고안을 시공간 이전하여, 인구밀도별 미세먼지 비용 원단위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비연소성 미세먼지 배출량을 총주행거리로 나누어 비연소성 미세먼지 배출계수를 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을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안양 연장(안)을 대상으로 모의실험한 결과, 전체 환경편익이 약 15% 정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소평가 되어온 환경편익의 현실화는 물론 신중한 교통기반시설 투자 결정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期刊介绍: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JKSR) launched in 1997 aims to provide a platform to exchange research information, establish and pioneer railway-related academia, and present research results that are both practical and unique. The journal covers various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ory and experiments, on topics related to railways such as railway policy and management, railway facilities, carriage machinery, electrical signals, and track engineering. It includes research outcomes that can contribute directly to the improvement of railway technologies as well as innovative studies on fundamental areas that can be applied to railways including mechanics, electricity, civil engineering, logistics, management and so on. The themes addressed by the journal include, but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Rolling stock & Mechanical systems (materials, fracture, non-destructive testing, mechanics of materials and structures, design, dynamics and control, noise and vibration, heat and fluid mechanics, energy and power engineering, system engineering, reliability, maintenance, safety, etc.), Power & Signal systems (power engineering and systems, electrical devices, circuits and systems, materials and devices, control and measurement, automation, signal processing, electrical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reliability, maintenance, safety, etc.), Civil engineering for railway (structural engineering, material engineering, dynamics, seismic engineering, geotechnical engineering, measurement, geodetic survey, mapping, GIS, construction,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transportation engineering, etc.), Transportation policy & Operation (railway traffic planning and engineering, railway management policy, railway technology policy, railway logistics, railway operation, railway information system, railway culture,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