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In Vitro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Glycine max (L.) Merr Ethanol Extract","authors":"Ju-Hyeon Park, Gyo-Nam Kim","doi":"10.17495/easdl.2023.8.33.4.32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대두의 항산화와 미백 기능을 검증하고자 에탄올로 추출한 대두 에탄올 추출물(GEE)의 항산화 성분(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고 다양한 in vitro 모델을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과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이용하였으며 미백 활성은 tyrosinase 저해능을 통해 평가하였다. GEE의 총 페놀 함량은 가장 높은 농도인 800 μg/mL에서 6.09 μg GAE/mL로 항산화 활성을 뒷받침 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역시 가장 높은 농도인 800 μg/mL에서 각각 40.24%, 20.82 μM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tyrosinase 저해능은 가장 높은 농도인 800 μg/mL에서 9.80%를 나타내었지만 추후 세부적인 미백 실험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인한 평균 수명 증가로 건강 증진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고려하였을 때, 대두 에탄올 추출물을 통한 실험 결과에 따라 대두는 페놀성 화합물 및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와 미백 기능을 토대로 하는 부작용 없는 천연 항산화제와 미용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146729,"journ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volume":"201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495/easdl.2023.8.33.4.3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대두의 항산화와 미백 기능을 검증하고자 에탄올로 추출한 대두 에탄올 추출물(GEE)의 항산화 성분(총 페놀함량)을 측정하였고 다양한 in vitro 모델을 사용하여 항산화 활성과 미백 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이용하였으며 미백 활성은 tyrosinase 저해능을 통해 평가하였다. GEE의 총 페놀 함량은 가장 높은 농도인 800 μg/mL에서 6.09 μg GAE/mL로 항산화 활성을 뒷받침 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역시 가장 높은 농도인 800 μg/mL에서 각각 40.24%, 20.82 μM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tyrosinase 저해능은 가장 높은 농도인 800 μg/mL에서 9.80%를 나타내었지만 추후 세부적인 미백 실험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인한 평균 수명 증가로 건강 증진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고려하였을 때, 대두 에탄올 추출물을 통한 실험 결과에 따라 대두는 페놀성 화합물 및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여 항산화 효과와 미백 기능을 토대로 하는 부작용 없는 천연 항산화제와 미용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