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with Point-Light Technique on Muscle Activity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authors":"Sung-Hyeon Lee, Ju-Hyung Park","doi":"10.21184/jkeia.2023.8.17.6.18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점-불빛 기법이 적용된 동작관찰훈련이 대상자의 근 활성도,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자는 26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연구 형태 중 두 그룹 사전·사후 설계로 실험군(지점-불빛 기법이 적용된 동작관찰훈련군, n=13)과 대조군(기존의 전통적인 동작관찰훈련군, n=13)으로 배정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모든 대상자에게 4주간 1회당 30분씩, 주 5회 실시하였다. 상지기능은 FMA-UE, ARAT, BBT로 평가하였고, 근 활성도는 sEMG로 평가하였다. 4주간의 훈련 후 FMA-UE, ARAT, BBT와 sEMG는 중재 전과 후의 유의한 차이가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났다(p.05). 중재 후 FMA-UE, ARAT, BBT와 sEMG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p.05). 따라서 지점-불빛 기법이 적용된 동작관찰훈련은 대상자의 근 활성도,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과제 훈련임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5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8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점-불빛 기법이 적용된 동작관찰훈련이 대상자의 근 활성도,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상자는 26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연구 형태 중 두 그룹 사전·사후 설계로 실험군(지점-불빛 기법이 적용된 동작관찰훈련군, n=13)과 대조군(기존의 전통적인 동작관찰훈련군, n=13)으로 배정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모든 대상자에게 4주간 1회당 30분씩, 주 5회 실시하였다. 상지기능은 FMA-UE, ARAT, BBT로 평가하였고, 근 활성도는 sEMG로 평가하였다. 4주간의 훈련 후 FMA-UE, ARAT, BBT와 sEMG는 중재 전과 후의 유의한 차이가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났다(p.05). 중재 후 FMA-UE, ARAT, BBT와 sEMG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p.05). 따라서 지점-불빛 기법이 적용된 동작관찰훈련은 대상자의 근 활성도,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과제 훈련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