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cting Approaches to the Character, ‘Lucky’ in 『Waiting For Godot』by Samuel Beckett: Focused on the Production Process through Ruth Zaporah’s Action Theatre
{"title":"A Study on Acting Approaches to the Character, ‘Lucky’ in 『Waiting For Godot』by Samuel Beckett: Focused on the Production Process through Ruth Zaporah’s Action Theatre","authors":"Chae-Young Lee, Joon-Hui Cho","doi":"10.21184/jkeia.2023.8.17.6.67","DOIUrl":null,"url":null,"abstract":"사무엘 베케트(Samuel Beckett)의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는 인간의 부조리한 삶의 모습을 무대 위에 올려놓은 부조리극이다. 의사소통의 부조리성이 부각시키는 일상성의 특성과 관객의 능동적인 의미 창발에서 수행적 특성을 드러낸다. 『고도를 기다리며』에 나타나는 부조리함과 무한의 반복성을 시뮬라크르적 일상성으로 해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극중 인물 ‘럭키’를 시뮬라크르적캐릭터로 구축하여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루스 자포라의 액션시어터를 도입하였다. 자포라의 즉흥 훈련들을 적용해‘움직임의 자발성을 통한 럭키의 행동 구체화’, ‘오브제의 물질성 변환을 통해 구축된 럭키의 시뮬라크르적 캐릭터’의 특성을 도출했다.BR 본 연구는 『고도를 기다리며』의 시뮬라크르적 일상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럭키의 시뮬라크르적 캐릭터를 창조하는 과정을 실제 프로덕션을 통해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사무엘 베케트(Samuel Beckett)의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는 인간의 부조리한 삶의 모습을 무대 위에 올려놓은 부조리극이다. 의사소통의 부조리성이 부각시키는 일상성의 특성과 관객의 능동적인 의미 창발에서 수행적 특성을 드러낸다. 『고도를 기다리며』에 나타나는 부조리함과 무한의 반복성을 시뮬라크르적 일상성으로 해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극중 인물 ‘럭키’를 시뮬라크르적캐릭터로 구축하여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루스 자포라의 액션시어터를 도입하였다. 자포라의 즉흥 훈련들을 적용해‘움직임의 자발성을 통한 럭키의 행동 구체화’, ‘오브제의 물질성 변환을 통해 구축된 럭키의 시뮬라크르적 캐릭터’의 특성을 도출했다.BR 본 연구는 『고도를 기다리며』의 시뮬라크르적 일상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럭키의 시뮬라크르적 캐릭터를 창조하는 과정을 실제 프로덕션을 통해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