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title":"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fulness and Play Beliefs","authors":"Eun-Ha Kim, Eun-Jung Yoon","doi":"10.21184/jkeia.2023.8.17.6.15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놀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과 놀이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 소재 대학의 유아교육과에서 유치원 학교현장실습 과정을 정상적으로 이행한 학생 315명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4주부터 2023년 4월 1주까지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Process macro model4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놀이 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신념의 매개효과가 놀이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에 관해 좀 더 깊이 있게 살펴봤으며 실증 분석을 토대로 놀이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 영역에 다양한 측면의 학술적 기여도를 제공하였다. 또한 교원 양성기관은 예비유아교사가 놀이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요소인 창의적 인성뿐만 아니라 놀이성과 놀이신념을 강화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8.17.6.1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놀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과 놀이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 소재 대학의 유아교육과에서 유치원 학교현장실습 과정을 정상적으로 이행한 학생 315명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4주부터 2023년 4월 1주까지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Process macro model4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놀이 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놀이성과 놀이신념은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신념의 매개효과가 놀이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에 관해 좀 더 깊이 있게 살펴봤으며 실증 분석을 토대로 놀이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 영역에 다양한 측면의 학술적 기여도를 제공하였다. 또한 교원 양성기관은 예비유아교사가 놀이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요소인 창의적 인성뿐만 아니라 놀이성과 놀이신념을 강화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