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Study on the Determinants of Growth in SME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Various Growth Measurement Methods","authors":"Byungwook Ko, Sung-Tae Kim","doi":"10.36029/fpr.2023.08.16.3.6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성장 측정방법에 따른 성장결정요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업 성장 측정방법을 상대적 성장 측정방법, 절대적 성장 측정방법, 복합 성장 측정방법으로 구분한 후, 각 성장 측정방법별로 성장결정요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업 성장은 고성장 기업이 주요 관심대상이므로 이러한 분포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분위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의 설명변수는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효율성을 대표하는 주요 재무지표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인 기업 성장성과 3년간의 시차를 두어 현재의 재무적 특성이 미래의 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성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첫째, 매출 증가의 속도가 높고 동시에 자산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기업일수록 미래성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성장성이 높은 분포 구간으로 갈수록 그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그 효과는 기업 성장성을 상대적 성장이나 복합 성장으로 측정할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중소기업들은 고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익성을 활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의 수익성(매출액순이익률)은 미래 성장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특히 고성장 분위구간(75분위, 90분위)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셋째, 효율적 자산관리(총자산회전율)는 기업성장의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총자산회전율은 거의 모든 성장 분위구간에서 양(+)의 추정계수를 보였으며, 특히 고성장 분위구간에서 그 값이 더 크게 나타나 효율적 자산관리가 고성장의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상대적 성장의 고성장 분위구간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점점 감소하는 차별성을 보였다. 넷째, 외부자본의 활용은 성장의 중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고성장 분위구간으로 갈수록 부채구성비율의 추정계수 값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레버리지 활용은 고성장의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PeriodicalId":100529,"journal":{"name":"FINANCIAL PLANNING REVIEW","volume":"7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FINANCIAL PLANNING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029/fpr.2023.08.16.3.6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성장 측정방법에 따른 성장결정요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업 성장 측정방법을 상대적 성장 측정방법, 절대적 성장 측정방법, 복합 성장 측정방법으로 구분한 후, 각 성장 측정방법별로 성장결정요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업 성장은 고성장 기업이 주요 관심대상이므로 이러한 분포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분위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의 설명변수는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효율성을 대표하는 주요 재무지표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인 기업 성장성과 3년간의 시차를 두어 현재의 재무적 특성이 미래의 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모형을 구성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BR 첫째, 매출 증가의 속도가 높고 동시에 자산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기업일수록 미래성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성장성이 높은 분포 구간으로 갈수록 그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그 효과는 기업 성장성을 상대적 성장이나 복합 성장으로 측정할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중소기업들은 고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익성을 활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의 수익성(매출액순이익률)은 미래 성장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특히 고성장 분위구간(75분위, 90분위)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셋째, 효율적 자산관리(총자산회전율)는 기업성장의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총자산회전율은 거의 모든 성장 분위구간에서 양(+)의 추정계수를 보였으며, 특히 고성장 분위구간에서 그 값이 더 크게 나타나 효율적 자산관리가 고성장의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상대적 성장의 고성장 분위구간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점점 감소하는 차별성을 보였다. 넷째, 외부자본의 활용은 성장의 중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고성장 분위구간으로 갈수록 부채구성비율의 추정계수 값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레버리지 활용은 고성장의 중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