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Intercultural Education using the Common Material of Folktale - Focusing on the war stories of Vietnam and the Philippines -","authors":"Jung-mi Oh","doi":"10.20864/skl.2023.10.80.8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공통 제재의 다국적 설화를 통해 상호문화교육을 실천하고자, 필리핀과 베트남의 설화를 소개한 후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쟁’을 공통 제재로 한 필리핀 설화 〈마까히야 유래담〉과 베트남 설화 〈남편의 오해로 죽은 여자〉를 선정해 가치문화, 역사문화, 자연문화, 생활문화를 내용으로 한 상호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공통 제재가 무엇이냐에 따라 핵심적인 문화 내용이 달라지는데, 전쟁 제재의 설화에서는 역사문화와 가치문화 중심의 교육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BR 각국 설화 속 전쟁은 사료적 성격의 전쟁과 달리 민중이 경험하고 기억하는 전쟁이다. 민중이 전승한 설화 속 전쟁은 국적을 초월한 상처와 아픔이라는 가치문화를 전하며 반성적 성찰 속에서 공감과 연대의식을 학습자에게 전한다. 즉 전쟁 제재의 설화는 다름을 바탕으로 한 각국의 낯선 역사문화를 전달하면서 동시에 전쟁이 주는 아픔과 상처라는 가치문화를 공감과 연대 차원에서 학습자에게 전달한다.","PeriodicalId":439469,"journ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64/skl.2023.10.80.8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공통 제재의 다국적 설화를 통해 상호문화교육을 실천하고자, 필리핀과 베트남의 설화를 소개한 후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쟁’을 공통 제재로 한 필리핀 설화 〈마까히야 유래담〉과 베트남 설화 〈남편의 오해로 죽은 여자〉를 선정해 가치문화, 역사문화, 자연문화, 생활문화를 내용으로 한 상호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공통 제재가 무엇이냐에 따라 핵심적인 문화 내용이 달라지는데, 전쟁 제재의 설화에서는 역사문화와 가치문화 중심의 교육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BR 각국 설화 속 전쟁은 사료적 성격의 전쟁과 달리 민중이 경험하고 기억하는 전쟁이다. 민중이 전승한 설화 속 전쟁은 국적을 초월한 상처와 아픔이라는 가치문화를 전하며 반성적 성찰 속에서 공감과 연대의식을 학습자에게 전한다. 즉 전쟁 제재의 설화는 다름을 바탕으로 한 각국의 낯선 역사문화를 전달하면서 동시에 전쟁이 주는 아픔과 상처라는 가치문화를 공감과 연대 차원에서 학습자에게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