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Japanese Major Idol Entertainment Companies’ Strategy","authors":"Alice Ji-ye Lee","doi":"10.21184/jkeia.2023.10.17.7.1","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최근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 아이돌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아이돌 엔터테인먼트 기획사의 경영전략을 기업전략, 사업전략, 기능전략의 수준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첫째, 한국과 일본의 기획사들이 각각 시행한 기업전략, 사업전략, 기능전략은 어떻게 다른가? 둘째 양국이 상이한 경영전략을 채택한 배경 및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한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시사점은 무엇인가이다.BR 연구 결과, 기업전략에 있어 양국은 세방화와 방세화의 세계화 전략과 국내화 전략이라는 상반된 전략을 활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사업전략에 있어서도 한국은 군대식 훈련을 통한 완성형 아이돌, 실력주의에 기반한 무한경쟁, 모듈화를 통한 시스템화를 지향한 반면, 일본은 아이돌의 개성을 존중하는 성장형 아이돌, 인간평등주의에 기반한 무한경쟁, 장인정신을 강조하며, 리더 중심의 가족경영의 전략을 구사해 왔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기능전략에 있어 한국은 발전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적극적인 스토리텔링과 SNS를 활용한 홍보를, 일본은 한국에 비해서는 아날로그적 감성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전략과 SNS를 활용한 홍보 전략을 채택하였음을 밝혔다.BR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양국 대표 기획사들의 경영전략을 포괄적 접근이 아닌, 기업전략과 사업전략 및 기능전략 등 세 가지 차원으로 분석하여 정치한 비교와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 또한 양국이 매우 상반된 전략을 활용하였음에도 상반된 전략들이 모두 아이돌 산업의 성공 요인이 되었음을 인식하는 실무적인 시사점 또한 얻을 수 있었다.BR 이제 한국의 기획사들은 일본이 시행한, 우리와는 상이한 전략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그들의 전략을 제대로 이해하고 우리의 상황에 맞는 발전적 변용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관심과 노력이 있을 때 한국에 대한 세계의 관심은 앞으로도 지속 가능할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4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 아이돌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아이돌 엔터테인먼트 기획사의 경영전략을 기업전략, 사업전략, 기능전략의 수준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첫째, 한국과 일본의 기획사들이 각각 시행한 기업전략, 사업전략, 기능전략은 어떻게 다른가? 둘째 양국이 상이한 경영전략을 채택한 배경 및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한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시사점은 무엇인가이다.BR 연구 결과, 기업전략에 있어 양국은 세방화와 방세화의 세계화 전략과 국내화 전략이라는 상반된 전략을 활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사업전략에 있어서도 한국은 군대식 훈련을 통한 완성형 아이돌, 실력주의에 기반한 무한경쟁, 모듈화를 통한 시스템화를 지향한 반면, 일본은 아이돌의 개성을 존중하는 성장형 아이돌, 인간평등주의에 기반한 무한경쟁, 장인정신을 강조하며, 리더 중심의 가족경영의 전략을 구사해 왔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기능전략에 있어 한국은 발전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적극적인 스토리텔링과 SNS를 활용한 홍보를, 일본은 한국에 비해서는 아날로그적 감성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전략과 SNS를 활용한 홍보 전략을 채택하였음을 밝혔다.BR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양국 대표 기획사들의 경영전략을 포괄적 접근이 아닌, 기업전략과 사업전략 및 기능전략 등 세 가지 차원으로 분석하여 정치한 비교와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 또한 양국이 매우 상반된 전략을 활용하였음에도 상반된 전략들이 모두 아이돌 산업의 성공 요인이 되었음을 인식하는 실무적인 시사점 또한 얻을 수 있었다.BR 이제 한국의 기획사들은 일본이 시행한, 우리와는 상이한 전략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또한 그들의 전략을 제대로 이해하고 우리의 상황에 맞는 발전적 변용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관심과 노력이 있을 때 한국에 대한 세계의 관심은 앞으로도 지속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