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ion and Focus of Innovation in the Operating and Viewing System for Movies and Stage Arts Reflecting the Changed Audience Perceptions and Life Styles after COVID-19

Jeong-Seob Kim, Eun-Hye Lee
{"title":"Direction and Focus of Innovation in the Operating and Viewing System for Movies and Stage Arts Reflecting the Changed Audience Perceptions and Life Styles after COVID-19","authors":"Jeong-Seob Kim, Eun-Hye Lee","doi":"10.21184/jkeia.2023.10.17.7.9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영화계와 공연계가 회복되지 않아 경영위기에 처한 가운데 변화된 수용자 의견을 확인하여, 이를 반영한 최적의 해법 마련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수용자 320명에 대한 설문결과 응답자들은 영화는 금요일로 개봉일 변경, 관람료 인하(일반관 평일의 경우 8천 원, 주말의 경우 1만 원 수준), 제작·배급할 경우 수용자가 원하는 적정 상영시간(120분)의 반영, 불편한 위치의 좌석 요금 인하 등 현행 관람제도와 관행에 대한 전면 개선을 희망했다. 연극, 뮤지컬, 콘서트 등 무대공연은 퇴근 시간과 코로나-19 이후 정착된 ‘조기 귀가’ 문화를 고려해 공연 시작 시각을 7시로 당기고, 화장실 등 편의시설의 보완도 요구했다. 무대공연은 극장 규모와 장르 간 공연 분량 차별화를 꾀하고, 특히 노래가 주축이라서 관객의 동적효용(動的效用)에 소구하는 뮤지컬과 음악 콘서트는 연극보다 20분 정도 긴 2시간 이상 공연하길 원했다. 연구 결과는 콘텐츠 공급·유통 주체가 수용자들을 다시 돌아오게 하려면 일방주의에서 과감히 벗어나 수용자의 변화된 인식과 생활 스타일을 반영한 서비스와 상영·공연·관람 제도를 일대 혁신해야 한다는 것을 함의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9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영화계와 공연계가 회복되지 않아 경영위기에 처한 가운데 변화된 수용자 의견을 확인하여, 이를 반영한 최적의 해법 마련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수용자 320명에 대한 설문결과 응답자들은 영화는 금요일로 개봉일 변경, 관람료 인하(일반관 평일의 경우 8천 원, 주말의 경우 1만 원 수준), 제작·배급할 경우 수용자가 원하는 적정 상영시간(120분)의 반영, 불편한 위치의 좌석 요금 인하 등 현행 관람제도와 관행에 대한 전면 개선을 희망했다. 연극, 뮤지컬, 콘서트 등 무대공연은 퇴근 시간과 코로나-19 이후 정착된 ‘조기 귀가’ 문화를 고려해 공연 시작 시각을 7시로 당기고, 화장실 등 편의시설의 보완도 요구했다. 무대공연은 극장 규모와 장르 간 공연 분량 차별화를 꾀하고, 특히 노래가 주축이라서 관객의 동적효용(動的效用)에 소구하는 뮤지컬과 음악 콘서트는 연극보다 20분 정도 긴 2시간 이상 공연하길 원했다. 연구 결과는 콘텐츠 공급·유통 주체가 수용자들을 다시 돌아오게 하려면 일방주의에서 과감히 벗어나 수용자의 변화된 인식과 생활 스타일을 반영한 서비스와 상영·공연·관람 제도를 일대 혁신해야 한다는 것을 함의한다.
新冠肺炎后反映观众观念和生活方式变化的影视剧运营观影体制创新方向与重点
该研究是在科罗纳-19之后电影界和演艺界一直没有恢复,陷入经营危机的情况下,为了确认变化的受众意见,摸索反映这一意见的最佳解决方法而实施的。收容者对320名问卷结果的回答者们电影周五上映日变更,下调票价(一般为冠平日的8千元,周末的情况1万韩元)、制作、发行时,接受的希望的精神放映时间(120分钟)的反映,不方便的观看位置的座位话费下调等现行制度和惯例对全面改善了希望。话剧、音乐剧、音乐会等舞台演出考虑到下班时间和“提前回家”文化,将演出开始时间提前到7时,并要求完善卫生间等便利设施。舞台公演的规模和类型之间的公演分量的差别化,特别是以歌曲为主轴,所以要求观众的动态效用的音乐剧和音乐音乐会希望公演比话剧长20分钟左右的2个小时以上。研究结果意味着,文化信息供应、流通主体要想让收容者重新回归,就应该果断地摆脱单边主义,对反映收容者变化的认识和生活方式的服务和上映、演出、观看制度进行改革。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