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nalysis of Oral Health Knowledge Factors According to Oral Health Behaviors of Multicultural Migrant Adults","authors":"Soon-Ok Han, Soon-Hwan Lim","doi":"10.21184/jkeia.2023.10.17.7.42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다문화 이주 성인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에 영향 요인을 분석하자 실시하였다. 단면연구 설계를 이용하여 경기도 지역 다문화 이주 성인을 대상으로 총 300명 설문하고, 29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주요 출신국가는 중국,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연령은 30대와 한국 거주기간은 1-5년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본국에서 구강보건교육경험은 ‘없음’175명(58.9%)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 충족 치과치료는‘있음’이 221명(74.4%)으로‘없음’에 비교하여 3배가 높게 나타났다. 미 충족 치과치료의 주된 이유는‘비용이 부담 돼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강건강행태가 구강보건지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 하였다.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행태로 잇솔질 2회이상(B=1.170, p0.05), 국민건강보험 가입(B=0.871, p0.01)은 구강보건지식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 충족 치과치료가 있음(B=-1.122, p0.001)은 구강보건지식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 이주성인은 올바른 잇솔질 방법과 국민건강보험 가입, 미충족 치과진료를 해결하기 위한 다문화 구강건강지원 사업의 필요를 확인하였으며, 다문화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로 적용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다문화 이주 성인에게 적합한 구강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4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이주 성인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에 영향 요인을 분석하자 실시하였다. 단면연구 설계를 이용하여 경기도 지역 다문화 이주 성인을 대상으로 총 300명 설문하고, 29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주요 출신국가는 중국,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연령은 30대와 한국 거주기간은 1-5년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본국에서 구강보건교육경험은 ‘없음’175명(58.9%)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 충족 치과치료는‘있음’이 221명(74.4%)으로‘없음’에 비교하여 3배가 높게 나타났다. 미 충족 치과치료의 주된 이유는‘비용이 부담 돼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강건강행태가 구강보건지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 하였다.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행태로 잇솔질 2회이상(B=1.170, p0.05), 국민건강보험 가입(B=0.871, p0.01)은 구강보건지식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 충족 치과치료가 있음(B=-1.122, p0.001)은 구강보건지식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 이주성인은 올바른 잇솔질 방법과 국민건강보험 가입, 미충족 치과진료를 해결하기 위한 다문화 구강건강지원 사업의 필요를 확인하였으며, 다문화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로 적용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다문화 이주 성인에게 적합한 구강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