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Purchasing Activities for Home Training for Health Promotion","authors":"Seung-Heon Baek, Gi-Tak Kim, Ru-Mi Jeong","doi":"10.21184/jkeia.2023.10.17.7.219","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홈트레이닝 제품 소비자들의 관여 정도에 따른 온라인 구매후기가 제품에 대한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홈트레이닝 기업입장에서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전 탐색하는 구매후기의 중요성 각인시키고 기업적 측면에서 특정 집단의 소비행동을 유추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겠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대상은 홈트레이닝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244부의 자료를 최종 연구에 활용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설문의 작성은 자기평가기입법과 편의추출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BR 첫째, 고관여 집단(군집 1)의 구매후기가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구매후기를 구성하는 4개(과장성, 진실성, 유용성, 동의성)의 하위요인이 부분적으로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관여 집단(군집 2)의 구매후기가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구매후기를 구성하는 4개(과장성, 진실성, 유용성, 동의성)의 하위요인이 부분적으로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를 종합하면, 첫째, 고관여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젊은 층을 타겟으로 구매후기를 활용한 마케팅전략이 수립되어야 하겠다. 그 예로 고객의 불편사항에 대한 즉각 조치의 태도, 자세한 사용설명, 제품평에 대한 솔직한 답변, 등 젊은 소비층과의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되어 상호 간의 신뢰 쌓기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저관여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여성 고객과 40대 이상의 고객층을 타겟으로 제휴회사를 활용한 할인 혜택, 연령대에 맞는 다양한 온라인 채널선택, 포인트 적립, 사은품 증정 등 다양한 이벤트 활동을 통한 홍보 활동에 주력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29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1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홈트레이닝 제품 소비자들의 관여 정도에 따른 온라인 구매후기가 제품에 대한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홈트레이닝 기업입장에서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전 탐색하는 구매후기의 중요성 각인시키고 기업적 측면에서 특정 집단의 소비행동을 유추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겠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대상은 홈트레이닝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244부의 자료를 최종 연구에 활용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설문의 작성은 자기평가기입법과 편의추출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BR 첫째, 고관여 집단(군집 1)의 구매후기가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구매후기를 구성하는 4개(과장성, 진실성, 유용성, 동의성)의 하위요인이 부분적으로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관여 집단(군집 2)의 구매후기가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구매후기를 구성하는 4개(과장성, 진실성, 유용성, 동의성)의 하위요인이 부분적으로 태도, 이미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태도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를 종합하면, 첫째, 고관여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젊은 층을 타겟으로 구매후기를 활용한 마케팅전략이 수립되어야 하겠다. 그 예로 고객의 불편사항에 대한 즉각 조치의 태도, 자세한 사용설명, 제품평에 대한 솔직한 답변, 등 젊은 소비층과의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되어 상호 간의 신뢰 쌓기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저관여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여성 고객과 40대 이상의 고객층을 타겟으로 제휴회사를 활용한 할인 혜택, 연령대에 맞는 다양한 온라인 채널선택, 포인트 적립, 사은품 증정 등 다양한 이벤트 활동을 통한 홍보 활동에 주력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