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Effect of Practice Activities Utilizing Short Form Video Production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s","authors":"Su-Hyang Park","doi":"10.21184/jkeia.2023.10.17.7.25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작업치료전공자를 대상으로 임상실습 과목에 숏폼 비디오 제작 활동을 적용한 후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는 2023년 1학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보건계열 작업치료전공자 2학년 학습자 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매 수업 이론과 실습수업을 병행하였으며, 2주차~7주차(A기간)는 질의응답과 감독으로 진행되는 전통적인 실습 방법을, 9주차~14주차(B기간)는 질의응답과 숏폼 비디오 제작을 활용한 실습 방법을 진행하였다.BR 연구 결과, 보건계열 특성상 성별은 여학생이 76.7%로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1.43±.90세였다. 학생들은 학습 자료로 교수님의 유인물이 가장 유용하다고 답하였으며, 선호하는 학습 유형은 오프라인 강의를 들으며 노트에 필기하는 형태였다. 실습 후 별도의 추가 활동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93.3%의 학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숏폼 비디오 제작을 활용한 실습에 참여하였을 때 수업 양에 대한 만족도, 교수자와의 질의응답, 동기들과의 의사소통, 학습 계획에 대한 만족도, 독립적 학습에 대한 자신감 관련 항목에서 유의하게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교수자가 실습활동 이후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기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과제를 제공한다면 더 나은 학습만족도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72281,"journ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volume":"231 ","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enteoteinmeonteusaneopakoenonmunji","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184/jkeia.2023.10.17.7.25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작업치료전공자를 대상으로 임상실습 과목에 숏폼 비디오 제작 활동을 적용한 후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는 2023년 1학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보건계열 작업치료전공자 2학년 학습자 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매 수업 이론과 실습수업을 병행하였으며, 2주차~7주차(A기간)는 질의응답과 감독으로 진행되는 전통적인 실습 방법을, 9주차~14주차(B기간)는 질의응답과 숏폼 비디오 제작을 활용한 실습 방법을 진행하였다.BR 연구 결과, 보건계열 특성상 성별은 여학생이 76.7%로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1.43±.90세였다. 학생들은 학습 자료로 교수님의 유인물이 가장 유용하다고 답하였으며, 선호하는 학습 유형은 오프라인 강의를 들으며 노트에 필기하는 형태였다. 실습 후 별도의 추가 활동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93.3%의 학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숏폼 비디오 제작을 활용한 실습에 참여하였을 때 수업 양에 대한 만족도, 교수자와의 질의응답, 동기들과의 의사소통, 학습 계획에 대한 만족도, 독립적 학습에 대한 자신감 관련 항목에서 유의하게 만족도가 높았다. 따라서 교수자가 실습활동 이후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기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과제를 제공한다면 더 나은 학습만족도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