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Countermeasures of Korean Econom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GVC(Global Value Chain) Paradigm","authors":"Jin-Man Yoo, Bongsuk Sung","doi":"10.37674/ceoms.26.3.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중국, 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 미국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단계 와 기술수준에 따라 수출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국의 대세계와 대중 국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 기술수준이 높은(고위) 산업에서 중국의 약진이 눈에 띄고, 미국의 브랜드가치가 다른 주요국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게다가 패널데이터 분석결과, 브랜드가치는 주요국의 대세계 및 대중국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허고급화지수의 경우 대중국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기업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글로벌 시장 진출과 수출 증대를 위해서는 브랜드가치를 높여야 한다. 둘째,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상품의 고급화와 GVC 전방참여를 높여야 한다.","PeriodicalId":479866,"journ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volume":"3 2","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674/ceoms.26.3.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국, 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 미국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단계 와 기술수준에 따라 수출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국의 대세계와 대중 국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 기술수준이 높은(고위) 산업에서 중국의 약진이 눈에 띄고, 미국의 브랜드가치가 다른 주요국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게다가 패널데이터 분석결과, 브랜드가치는 주요국의 대세계 및 대중국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허고급화지수의 경우 대중국 수출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기업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글로벌 시장 진출과 수출 증대를 위해서는 브랜드가치를 높여야 한다. 둘째,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상품의 고급화와 GVC 전방참여를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