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tudy on Influences of Tourist Pursuit Benefits on the Destination Image and Tourist Behavior Intentions","authors":"Oh Suk Yang, Sounghee Jeong","doi":"10.37674/ceoms.26.3.3","DOIUrl":null,"url":null,"abstract":"앤데믹 시대에 접어들며 해외관광의 빗장이 풀렸다. 국내관광 수요 반등을 위해 지자체별 관광객 유치 경쟁은 심화되고 있으며, 그 기반에는 관광객 개인의 선호도와 니즈파악이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객 추구편익과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로서 관광객 추구편익이 지역의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추후 관광산업에서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선택과 방문의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학술적 기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개인화 시대에 접어들며 개인의 선호도 를 반영하는 추구편익 요소 간에도 위계적 순서가 존재할 것으로 보고 지역이미지와 행동 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추구편익 요소 중에서는 교육성, 사회적가치 등이 가장 행동의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경제성, 편리성 등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물리적 거리 또는 비용보다 개인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구편익을 기반으로 형성된 지역의 이미지 는 방문의도와 정보탐색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를 바탕으로 지역의 긍정적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그에 앞서 경쟁력 있는 지역의 관광산업 견인 및 빠르게 변화하는 관광객의 선호와 니즈에 대응하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479866,"journ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volume":"87 3","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7674/ceoms.26.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앤데믹 시대에 접어들며 해외관광의 빗장이 풀렸다. 국내관광 수요 반등을 위해 지자체별 관광객 유치 경쟁은 심화되고 있으며, 그 기반에는 관광객 개인의 선호도와 니즈파악이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객 추구편익과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로서 관광객 추구편익이 지역의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추후 관광산업에서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선택과 방문의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활용할 수 있도록 학술적 기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개인화 시대에 접어들며 개인의 선호도 를 반영하는 추구편익 요소 간에도 위계적 순서가 존재할 것으로 보고 지역이미지와 행동 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추구편익 요소 중에서는 교육성, 사회적가치 등이 가장 행동의도에 큰 영향을 미쳤고 경제성, 편리성 등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물리적 거리 또는 비용보다 개인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구편익을 기반으로 형성된 지역의 이미지 는 방문의도와 정보탐색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를 바탕으로 지역의 긍정적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그에 앞서 경쟁력 있는 지역의 관광산업 견인 및 빠르게 변화하는 관광객의 선호와 니즈에 대응하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