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opulation and Imposing Tax Status Featured in the Journal of Yeonseungji

Geun Ho Lee
{"title":"A Study on the Population and Imposing Tax Status Featured in the Journal of Yeonseungji","authors":"Geun Ho Lee","doi":"10.31335/hpts.2023.04.80.7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연성지』와 함께 각종 지리지를 활용해 연기 지역의 인구와 부세 현황을 살핀 것이다. 지리지나 각종 자료에서 확인되는 인구나 부세 현황은 그 자체로 실제 수치는 아니다. 국가의 인구나 부세 정책을 반영하여 정리된 것이기 때문이다. 단, 『연성지』 등 지리지에서 확인되는 수치를 통해서 연기 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대한 개략적인 추이를 살필 수 있다. 연기 지역민들은 농업에 부지런히 힘썼다. 그럼에도 조선시대 연기가 잔읍(殘邑)으로 분류되었는데, 이상에서 살핀 인구나 부세 추이는 잔읍 연기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물론 이는 중앙에서 파악한 기준이기는 하다. 또한 조선시대 연기를 포함해 잔읍으로 분류된 지역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보여주는 일례로써 의미가 있다.BR 한편 이 글은 『연성지』의 가치를 조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작성된 것이다. 『연성지』는 현전하는 연기 지역 읍지 중 가장 빠른 시기의 것으로, 19세기 전반기 연기 지역의 다양한 역사상을 보여주는 사료로써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일례로 이 글에서 살펴본 인구 현상이나 부세 양상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점이다. 물론 우리에게 과제도 던져주고 있다. 19세기 전반기 중앙 정부의 인구나 부세 정책과 관련성에서 해석해야 할 과제이다. 그럼에도 이를 통해 연기지역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인문적인 상황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향후 연기 지역이 포함된 세종시의 역사문화콘텐츠 구축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자료이다.","PeriodicalId":471717,"journal":{"name":"Yeogsa wa silhag","volume":"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4-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eogsa wa silhag","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35/hpts.2023.04.80.7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글은 『연성지』와 함께 각종 지리지를 활용해 연기 지역의 인구와 부세 현황을 살핀 것이다. 지리지나 각종 자료에서 확인되는 인구나 부세 현황은 그 자체로 실제 수치는 아니다. 국가의 인구나 부세 정책을 반영하여 정리된 것이기 때문이다. 단, 『연성지』 등 지리지에서 확인되는 수치를 통해서 연기 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대한 개략적인 추이를 살필 수 있다. 연기 지역민들은 농업에 부지런히 힘썼다. 그럼에도 조선시대 연기가 잔읍(殘邑)으로 분류되었는데, 이상에서 살핀 인구나 부세 추이는 잔읍 연기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물론 이는 중앙에서 파악한 기준이기는 하다. 또한 조선시대 연기를 포함해 잔읍으로 분류된 지역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보여주는 일례로써 의미가 있다.BR 한편 이 글은 『연성지』의 가치를 조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작성된 것이다. 『연성지』는 현전하는 연기 지역 읍지 중 가장 빠른 시기의 것으로, 19세기 전반기 연기 지역의 다양한 역사상을 보여주는 사료로써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일례로 이 글에서 살펴본 인구 현상이나 부세 양상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점이다. 물론 우리에게 과제도 던져주고 있다. 19세기 전반기 중앙 정부의 인구나 부세 정책과 관련성에서 해석해야 할 과제이다. 그럼에도 이를 통해 연기지역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인문적인 상황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향후 연기 지역이 포함된 세종시의 역사문화콘텐츠 구축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자료이다.
《延承志》刊登的《人口与征税状况研究》
这篇文章与《延城志》一起,利用各种地理志,观察了燕岐地区的人口和赋税现状。从地理或各种资料中可以确认的人口和赋税现状本身并不是实际数据。因为这反映了国家的人口和赋税政策。但是,通过《延城志》等地理志上确认的数据,可以大致了解燕岐地区社会经济状况的趋势。燕岐地区的居民们辛勤地致力于农业。尽管如此,朝鲜时代的烟被分类为残邑,以上所观察的人口和赋税趋势象征性地体现了残邑烟的社会经济条件。当然,这是中央掌握的标准。另外,作为体现朝鲜时代包括燕岐在内被分类为残邑地区的社会经济条件的例子,具有重大意义。BR另一方面,这篇文章是为了揭示《延展性志》的价值而写的一环。《延城志》是现传的燕岐地区邑地中最早的时期,作为展现19世纪前半期燕岐地区多样历史的史料,具有充分的价值。例如,在这篇文章中具体指出了人口现象和赋税现象等。当然,这也给我们提出了课题。这是需要从与19世纪前半期中央政府的人口或赋税政策的关联性来解释的课题。尽管如此,通过这种方式可以推测燕歧地区的社会经济条件。另外,同时提出了多样的人文状况,在这一点上也具有重大意义。这些资料将在今后包括燕岐地区在内的世宗市历史文化信息构建过程中被有效利用。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