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Russian Election Interference in the 2016 US Election and the Voters’ Attitudes toward the Interference","authors":"Junseok Kim, Doyun Lee","doi":"10.54711/kssr.36.1.02","DOIUrl":null,"url":null,"abstract":"통근은 대다수 근로자의 삶에서 유의미한 일과이며, 삶의 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하지만 통근으로 인한 교통체증, 공해 등 거시적 관점에서 문제에 접근하는 선행연구들만 존재할 뿐, 정작 통근을 경험하는 주체인 개별 근로자의 차원에서 통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살핀 국내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떤 지역보다 심각한 통근문제를 겪고 있는 서울을 중심으로 통근이 근로자들의 직업만족도 및 행복과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0년 서울서베이」를 이용해 서울거주 통근근로자 26,01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통근시간, 통근거리, 통근유형(자치구 간 이동유형)이 직업만족도나 행복도와 어떠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 분석한다. 분석결과, 통근시간이 길거나 통근거리가 멀 때 직업만족도나 행복도가 낮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통근유형에 따라 직업만족도 및 행복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삶에 미치는 통근의 영향을 다각적인 측면의 분석을 통해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합리적이고 체감도 높은 통근 관련 정책방안 마련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87150,"journal":{"name":"Sahoe gwahag yeon'gu (Gugmin daehaggyo)","volume":"7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8-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ahoe gwahag yeon'gu (Gugmin daehaggyo)","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4711/kssr.36.1.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통근은 대다수 근로자의 삶에서 유의미한 일과이며, 삶의 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하지만 통근으로 인한 교통체증, 공해 등 거시적 관점에서 문제에 접근하는 선행연구들만 존재할 뿐, 정작 통근을 경험하는 주체인 개별 근로자의 차원에서 통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살핀 국내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떤 지역보다 심각한 통근문제를 겪고 있는 서울을 중심으로 통근이 근로자들의 직업만족도 및 행복과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0년 서울서베이」를 이용해 서울거주 통근근로자 26,01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통근시간, 통근거리, 통근유형(자치구 간 이동유형)이 직업만족도나 행복도와 어떠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 분석한다. 분석결과, 통근시간이 길거나 통근거리가 멀 때 직업만족도나 행복도가 낮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통근유형에 따라 직업만족도 및 행복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삶에 미치는 통근의 영향을 다각적인 측면의 분석을 통해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합리적이고 체감도 높은 통근 관련 정책방안 마련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