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analysis of recognition of rurality and use of rural resources for operators of rural healing tourism","authors":"Jae-Han Min, Kyung-Hee Kim, Hye-Young Lee","doi":"10.21298/ijthr.2023.9.37.7.185","DOIUrl":null,"url":null,"abstract":"자연에서의 건강증진과 심신회복을 주목적으로 하는 농촌 치유관광은 풍부한 자연과 농촌다움의 정서를 지니고 있다. 농촌 치유관광 사업 운영자가 농촌이라는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자원을 활용하는지는 지속가능한 농촌 치유관광 개발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유마을 운영자들이 인식하는 ‘농촌성’과 활용자원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치유마을 운영자들의 농촌성에 대한 인식은 ‘우수한 자연환경’, ‘고향에 대한 향수’, ‘마을주민의 푸근한 정’, ‘도시에서 볼 수 없는 여유로움,’ 그리고 ‘농촌성 경험’으로 유형화되었다. 치유관광에 활용할 수 있는 농촌자원은 자연자원, 역사자원, 시설자원, 관광자원, 공동체 활동 자원으로 유형화되었다. 분석 결과는 농촌이 단순히 풍부한 자연환경만이 아닌 편안함, 농촌의 정서와 보살핌, 심신안정 등의 기능이 있는 또 다른 매력적인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치유마을이 경쟁력있는 치유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치유적 요소를 가진 마을자원이 고유한 치유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자원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PeriodicalId":47331,"journ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1.6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natolia-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98/ijthr.2023.9.37.7.18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Q3","JCRName":"HOSPITALITY, LEISURE, SPORT & TOURISM","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자연에서의 건강증진과 심신회복을 주목적으로 하는 농촌 치유관광은 풍부한 자연과 농촌다움의 정서를 지니고 있다. 농촌 치유관광 사업 운영자가 농촌이라는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자원을 활용하는지는 지속가능한 농촌 치유관광 개발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유마을 운영자들이 인식하는 ‘농촌성’과 활용자원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치유마을 운영자들의 농촌성에 대한 인식은 ‘우수한 자연환경’, ‘고향에 대한 향수’, ‘마을주민의 푸근한 정’, ‘도시에서 볼 수 없는 여유로움,’ 그리고 ‘농촌성 경험’으로 유형화되었다. 치유관광에 활용할 수 있는 농촌자원은 자연자원, 역사자원, 시설자원, 관광자원, 공동체 활동 자원으로 유형화되었다. 분석 결과는 농촌이 단순히 풍부한 자연환경만이 아닌 편안함, 농촌의 정서와 보살핌, 심신안정 등의 기능이 있는 또 다른 매력적인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치유마을이 경쟁력있는 치유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치유적 요소를 가진 마을자원이 고유한 치유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자원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