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for autonomy considering Kant's concept of Enlightenment

Hyeon-seong Kim, Sang-sup Kim
{"title":"Education for autonomy considering Kant's concept of Enlightenment","authors":"Hyeon-seong Kim, Sang-sup Kim","doi":"10.15754/jkpe.2023.45.3.006","DOIUrl":null,"url":null,"abstract":"우리의 학교는 자율성 교육을 위해 학습자의 자유로운 선택을 점점 늘려가는 추세를 좇고 있다. 하지만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교육의 범위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발맞춰 학습자의 자율성이 같이 증진되었는지에 대해서는 고민해 볼 만하다. 이 논문은, 학습자의 자율성을 증진시키고자 교육의 선택권을 과도하게 확장하는 것이 오히려 자아의 소외 현상을 발생시키지는 않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문제가 계몽 개념의 내부적 모순 때문인지 아니면 실천적 문제 때문인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칸트의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 논문을 분석한 푸코의 논문을 참조하면서 칸트의 논문 속에 자리하고 있는 계몽의 이중적인 의미 또는 긴장상태를 추적하여, 현대적인 관점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이 성공적일 경우, 자율성이라는 이념의 지배적인 위치 때문에 제대로 조명을 받지 못했던 훈육과 훈련, 수련(askesis)의 교육적 위상을 회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사적 욕망을 실현하는 기관으로 전락했다고 비판받는 학교가 공적 가치를 전수하는 기관으로 재정립될 수 있는 근거와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PeriodicalId":47730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volume":"4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54/jkpe.2023.45.3.00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우리의 학교는 자율성 교육을 위해 학습자의 자유로운 선택을 점점 늘려가는 추세를 좇고 있다. 하지만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교육의 범위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발맞춰 학습자의 자율성이 같이 증진되었는지에 대해서는 고민해 볼 만하다. 이 논문은, 학습자의 자율성을 증진시키고자 교육의 선택권을 과도하게 확장하는 것이 오히려 자아의 소외 현상을 발생시키지는 않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문제가 계몽 개념의 내부적 모순 때문인지 아니면 실천적 문제 때문인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칸트의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 논문을 분석한 푸코의 논문을 참조하면서 칸트의 논문 속에 자리하고 있는 계몽의 이중적인 의미 또는 긴장상태를 추적하여, 현대적인 관점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이 성공적일 경우, 자율성이라는 이념의 지배적인 위치 때문에 제대로 조명을 받지 못했던 훈육과 훈련, 수련(askesis)의 교육적 위상을 회복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사적 욕망을 실현하는 기관으로 전락했다고 비판받는 학교가 공적 가치를 전수하는 기관으로 재정립될 수 있는 근거와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康德启蒙思想下的自主教育
我们的学校为了自主性教育,正在追随学习者的自由选择逐渐增加的趋势。但是,随着学习者可以自己选择的教育范围逐渐扩大的趋势,学习者的自主性是否也随之提高,这一点值得思考。这篇论文,学习的自主性,想增进教育的选择权,过度扩张,反而是没有自我的产生异化现象,是否带着问题意识,对这个问题是因为启蒙概念的内部矛盾,还是实践问题进行分析,报告人。为此,我们将参照傅柯分析康德《什么是启蒙》论文的论文,追踪康德论文中启蒙的双重意义和紧张状态,用现代观点重新进行解释。这种分析成功;自主性,因为理念的支配性地位,没有灯光的照射下的训育和训练、修炼(askesis)的教育地位寻求恢复方案,沦为私人实现欲望的机关”传授公共价值的学校受到批评的机关可以重新为依据和奠定可以期待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