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ing Effective Ways to Teach Chinese Characters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 A Seoul National University Case Study

Jinok Hong
{"title":"Finding Effective Ways to Teach Chinese Characters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 A Seoul National University Case Study","authors":"Jinok Hong","doi":"10.18399/actako.2023..92.008","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한글전용세대에 해당하는 지금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한자(어)교육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지의 고민에서 시작하여, 서울대학교 교양 과목인 〈한국의 한자와 한자어〉의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강의 운영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먼저 서론에서는 한자가 한국 문화 안에서 오랜 시간 성장했고 한국인의 정체성 형성 확립에 주요하게 기여하였으며 어문 생활에서도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점에서 대학에서 한자 교육이 주요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논하였다. 이후 제2장에서는 교육 환경 및 시대적 변화에 발맞추어 여전히 유용하고 흥미로운 대상으로서 한자를 인식하게 하고자 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서울대학교 교양 한자어 과목의 실제 운영 사례를 자세히 살폈다. 이후 해당 교과목의 강의 설계와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 교양 한자(어)/한문 교육이 지향해 나가야 할 사항으로서, 1) ‘복합적 교육효과를 고려한 융합 교육’을 위해 다양한 학문과 연계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개발할 필요가 있고, 2) 21세기 대학 교육의 목표 및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역량 등을 고려한 학습적 효과를 동시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나아가야 하며, 3) 여전히 교수자의 이론 강의에 치우쳐져 있는 한자/한문 교육에서 학생들이 ‘수업의 주체’의 위치에 이를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다각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로써 지금 세대의 학생들에게 한자가 전통 시대의 유물이 아닌 고차원적인 사고 활동까지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도구로서 여전히 필요불가결하고, 시대적 흐름과 변화에 발맞추어 나가는 학문 대상으로서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덧붙였다.","PeriodicalId":479824,"journal":{"name":"Han'gughag nonjib","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hag nonjib","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99/actako.2023..92.008","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고는 한글전용세대에 해당하는 지금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한자(어)교육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지의 고민에서 시작하여, 서울대학교 교양 과목인 〈한국의 한자와 한자어〉의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강의 운영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먼저 서론에서는 한자가 한국 문화 안에서 오랜 시간 성장했고 한국인의 정체성 형성 확립에 주요하게 기여하였으며 어문 생활에서도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점에서 대학에서 한자 교육이 주요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논하였다. 이후 제2장에서는 교육 환경 및 시대적 변화에 발맞추어 여전히 유용하고 흥미로운 대상으로서 한자를 인식하게 하고자 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서울대학교 교양 한자어 과목의 실제 운영 사례를 자세히 살폈다. 이후 해당 교과목의 강의 설계와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 교양 한자(어)/한문 교육이 지향해 나가야 할 사항으로서, 1) ‘복합적 교육효과를 고려한 융합 교육’을 위해 다양한 학문과 연계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개발할 필요가 있고, 2) 21세기 대학 교육의 목표 및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역량 등을 고려한 학습적 효과를 동시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나아가야 하며, 3) 여전히 교수자의 이론 강의에 치우쳐져 있는 한자/한문 교육에서 학생들이 ‘수업의 주체’의 위치에 이를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다각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로써 지금 세대의 학생들에게 한자가 전통 시대의 유물이 아닌 고차원적인 사고 활동까지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도구로서 여전히 필요불가결하고, 시대적 흐름과 변화에 발맞추어 나가는 학문 대상으로서 흥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덧붙였다.
在大学通识教育课程中寻找有效的汉字教学方法——以首尔大学为例
考试专用韩文一代相当于现在的大学生为对象,在大学(汉字)教育“如何”能否有效的苦恼中开始,首尔大学教育科目的‘韩国的汉字和汉字的运营案例为基础,有效的运营方案进行过探索。首先,绪论讨论了汉字在韩国文化中成长了很长时间,对韩国人整体性的形成和确立做出了主要的贡献,在语文生活中仍然占很大的比重,因此在大学里应该主要进行汉字教育。之后的第2章,为了适应教育环境及时代的变化,让学生们认识汉字依然是有用和有趣的对象,作为一种方法论,仔细观察了首尔大学教养汉字词科目的实际运营事例。此后,以相关课程的授课设计和运营结果为基础,作为今后大学教养汉字(语)/汉文教育的发展方向。1)“考虑到综合性教育效果的融合教育”,有必要开发与多种学问相联系的课程。2) 21世纪大学教育的目标和在社会上要求的核心力量等的学习效果考虑同步前进,以便达到3)仍倾向于教授的理论授课,有汉字/汉文教育中,学生们“上课的主体”的位置,以便达到多角度考虑的方式,有必要进行了讨论。至此,现在一代的学生对汉字并非传统时代的遗物,但可能到高层次思维活动的核心工具,仍然必要,适应时代潮流和变化的学问作为对象,可能会有兴趣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