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w Wave of Cultural Content in Korean Literature: Rewriting Classic Korean Stories into Science Fiction

Gihwa Jeon
{"title":"The New Wave of Cultural Content in Korean Literature: Rewriting Classic Korean Stories into Science Fiction","authors":"Gihwa Jeon","doi":"10.18399/actako.2023..92.005","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고전서사를 SF로 재창작한 사례들을 고전문학콘텐츠의 주요한 흐름 가운데 하나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고전서사의 계승과 변주라는 넓은 스펙트럼을 파악하는 한 방법으로서 〈심청전〉을 재창작한 소설 두 편을 중심으로 구체적 양상을 비교하며 살피고, 그 재창작의 특징과 의미를 논하였다. 우선적으로는 재창작을 통해 고전서사에 관한 재해석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제시하면서, 재창작 작품이 원전과의 대화적 관계를 구성하고 있는지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다음으로는 SF로의 재창작에 있어 고전서사가 지닌 환상성이란 그 자체로 SF의 세계관을 건설하는 데 유용한 매개로서 역할하며 과학적 상상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지점임을 논하였다. 고전서사의 환상적인 요소들을 비현실적이라며 제거해왔던 개작의 방향과는 달리, SF를 통한 재창작은 그러한 환상적 요소들을 재해석하여 낯선 지평 위에 고전서사를 재구축하며 경이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보았다. 이상의 논의에 비추어 볼 때, 고전서사의 SF로의 재창작은 고전서사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재해석을 통해 한국소설사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시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아가 고전문학의 문제적 연속성을 사유케 만든다는 점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79824,"journal":{"name":"Han'gughag nonjib","volume":"4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Han'gughag nonjib","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99/actako.2023..92.0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고는 고전서사를 SF로 재창작한 사례들을 고전문학콘텐츠의 주요한 흐름 가운데 하나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고전서사의 계승과 변주라는 넓은 스펙트럼을 파악하는 한 방법으로서 〈심청전〉을 재창작한 소설 두 편을 중심으로 구체적 양상을 비교하며 살피고, 그 재창작의 특징과 의미를 논하였다. 우선적으로는 재창작을 통해 고전서사에 관한 재해석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제시하면서, 재창작 작품이 원전과의 대화적 관계를 구성하고 있는지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다음으로는 SF로의 재창작에 있어 고전서사가 지닌 환상성이란 그 자체로 SF의 세계관을 건설하는 데 유용한 매개로서 역할하며 과학적 상상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지점임을 논하였다. 고전서사의 환상적인 요소들을 비현실적이라며 제거해왔던 개작의 방향과는 달리, SF를 통한 재창작은 그러한 환상적 요소들을 재해석하여 낯선 지평 위에 고전서사를 재구축하며 경이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보았다. 이상의 논의에 비추어 볼 때, 고전서사의 SF로의 재창작은 고전서사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재해석을 통해 한국소설사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시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아가 고전문학의 문제적 연속성을 사유케 만든다는 점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
韩国文学文化内容的新浪潮:将韩国经典小说改写为科幻小说
本文试图将古典叙事重新创作为SF的事例作为古典文学内容的主要潮流之一提出。作为把握古典叙事继承和变奏曲这一广阔范围的方法之一,以重新创作《沈清传》的两篇小说为中心,比较和观察具体情况,讨论了重新创作的特点和意义。首先提出通过再创作对古典叙事进行重新解释,并提议有必要对再创作作品是否与原着构成对话关系进行研讨。其次,在SF的再创作中,古典叙事所具有的幻想性本身就是在建设SF世界观上起到有用的媒介作用,是能够将科学想象力极大化的地方。与以不现实为由排除古典叙事的幻想性要素的改编方向不同,通过SF的再创作能够重新解释这种幻想性要素,在陌生的地平线上重新诠释古典叙事,引发惊奇感,因此备受关注。以上的讨论来看,经典叙事的sf中再创小的古典叙事出现在幻想诚意通过重新解释关于韩国小说史的新的视角可以暗示,从这一点来看,乃至古典文学的问题。从这一点看,让连续性思维有必要关注。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