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Pastoral Theological Studies on Integrative Spirituality : Focused on a Systemic Approach","authors":"Mi-young Kim, Soo-Young Kwon","doi":"10.17301/tf.2023.9.113.3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독교인 내담자들의 정신적 문제와 영성의 불일치에 대해 통합적 영성의 목회 돌봄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산드라 슈나이더스(S. Schneiders)의 현대적 영성의 정의를 수용하고 권수영의 영성의 내용과 기능을 통합하는 목회신학 방법론을 결합하여 통합적 영성의 개념적 정의를 내렸다. 엘리자베스 리버트(E. Liebert)의 영성 경험원형도 이론을 근거하여 임상 현장에서 연구참여자들의 내적, 관계적,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종교적 차원에서의 영성 경험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분석의 틀에 맞게 재구성하고 심리학과 신학 양축적인 접근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성 경험은 내담자의 심리 내적, 관계적, 사회•문화적, 자연 및 종교적 차원에서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형성되는 것이므로 기독(목회)상담자는 내담자의 영성 경험을 심리학과 신학의 양축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불균형과 단절의 지점을 파악하여 심리-사회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 심리 상담 기법을 활용하여 심리 내적인 균형을, 영성지도와 미시적 영성 경험을 통한 영성의 균형을,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사회구조적인 체계에서의 균형을 위해 공감적 지지자, 예언자적 선포자, 그리고 종말론적 모험가로서 실천적인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PeriodicalId":471569,"journal":{"name":"Sinhag nondan","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inhag nonda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301/tf.2023.9.113.3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기독교인 내담자들의 정신적 문제와 영성의 불일치에 대해 통합적 영성의 목회 돌봄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산드라 슈나이더스(S. Schneiders)의 현대적 영성의 정의를 수용하고 권수영의 영성의 내용과 기능을 통합하는 목회신학 방법론을 결합하여 통합적 영성의 개념적 정의를 내렸다. 엘리자베스 리버트(E. Liebert)의 영성 경험원형도 이론을 근거하여 임상 현장에서 연구참여자들의 내적, 관계적,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종교적 차원에서의 영성 경험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분석의 틀에 맞게 재구성하고 심리학과 신학 양축적인 접근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성 경험은 내담자의 심리 내적, 관계적, 사회•문화적, 자연 및 종교적 차원에서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형성되는 것이므로 기독(목회)상담자는 내담자의 영성 경험을 심리학과 신학의 양축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불균형과 단절의 지점을 파악하여 심리-사회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 심리 상담 기법을 활용하여 심리 내적인 균형을, 영성지도와 미시적 영성 경험을 통한 영성의 균형을,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사회구조적인 체계에서의 균형을 위해 공감적 지지자, 예언자적 선포자, 그리고 종말론적 모험가로서 실천적인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