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Social-Scientific Interpretation of Parable of the Great Feast(Luke 14:15-24) : Gossip Network, Honor Game, and Reciprocity","authors":"Heung-Yong Park","doi":"10.17301/tf.2023.9.113.12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고는 일명 ‘큰 잔치 비유’(눅 14:15-21)를 사회과학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1세기 지중해 연안 세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회과학적 개념인 ‘명예게임’과 ‘보호자-피보호자의 호혜작용’, 그리고 ‘가십 네트워크’를 통해 비유가 전제하고 있는 사회적 상황을 규명하고, 그 상황 안에서 비유가 던져주는 의미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큰잔치 비유는 종말론적 잔치나 이방인 구원의 정당성, 제자도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예수 당시 팔레스타인 사회(그리고 1세기 지중해 주변 세계)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였던 부자와 가난한 자 사이에 놓인 사회적 경계를 허무는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사회질서에 관한 이야기임을 밝힌다. 다시 말해 이 비유는 두 개의 세상, 즉 상호주의가 여전히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사회적 경계와 계급 구조가 점점 더 뚜렷해지는 이 세상과 그 모든 것이 무의미한 하나님 나라를 동시에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태도를 취하며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이야기이다.","PeriodicalId":471569,"journal":{"name":"Sinhag nondan","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inhag nonda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301/tf.2023.9.113.1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고는 일명 ‘큰 잔치 비유’(눅 14:15-21)를 사회과학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1세기 지중해 연안 세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회과학적 개념인 ‘명예게임’과 ‘보호자-피보호자의 호혜작용’, 그리고 ‘가십 네트워크’를 통해 비유가 전제하고 있는 사회적 상황을 규명하고, 그 상황 안에서 비유가 던져주는 의미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큰잔치 비유는 종말론적 잔치나 이방인 구원의 정당성, 제자도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예수 당시 팔레스타인 사회(그리고 1세기 지중해 주변 세계)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였던 부자와 가난한 자 사이에 놓인 사회적 경계를 허무는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사회질서에 관한 이야기임을 밝힌다. 다시 말해 이 비유는 두 개의 세상, 즉 상호주의가 여전히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사회적 경계와 계급 구조가 점점 더 뚜렷해지는 이 세상과 그 모든 것이 무의미한 하나님 나라를 동시에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태도를 취하며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이야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