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Economic Activitie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Morbidly Obese Korean Adults","authors":"H. A. Park, J. Cho","doi":"10.7570/KJO.2011.20.4.210","DOIUrl":null,"url":null,"abstract":"비만은 만성질환과 신체활동의 장애를 유발할 뿐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와 사회경제적인 문제도 야기시킨다. 1) 선진국 에서는 사회경제적 수준과 비만이 역상관 관계를 보이는 것 으로 일관되고 보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비만도가 교육 수준이나 가계소득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역의 관련 성을 보이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2) 하지만 대부 분의 국외연구가 비만과 경제활동의 관련성을 볼 때 급여액 수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직업군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 로 낮아, 직업군은 급여액에 영향을 주는 공변량으로만 처 리하고 있다. 반면, 국내 비만인의 경제활동에 대한 연구 는 이에도 못 미쳐 대부분이 교육수준이나 가계소득 등의 사회경제적 수준 파악에 머물고 있어, 비만도가 급여액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나 비만이 직업군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드문 형편이다. 한국인 고도비만자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경제활동","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1-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4","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70/KJO.2011.20.4.210","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4
Abstract
비만은 만성질환과 신체활동의 장애를 유발할 뿐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와 사회경제적인 문제도 야기시킨다. 1) 선진국 에서는 사회경제적 수준과 비만이 역상관 관계를 보이는 것 으로 일관되고 보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비만도가 교육 수준이나 가계소득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수준과 역의 관련 성을 보이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2) 하지만 대부 분의 국외연구가 비만과 경제활동의 관련성을 볼 때 급여액 수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직업군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 로 낮아, 직업군은 급여액에 영향을 주는 공변량으로만 처 리하고 있다. 반면, 국내 비만인의 경제활동에 대한 연구 는 이에도 못 미쳐 대부분이 교육수준이나 가계소득 등의 사회경제적 수준 파악에 머물고 있어, 비만도가 급여액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나 비만이 직업군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드문 형편이다. 한국인 고도비만자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경제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