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과 ‘이념’: 중산층 남성 성장서사의 무의식 : 김원일의 『노을』을 중심으로

오자은
{"title":"‘살’과 ‘이념’: 중산층 남성 성장서사의 무의식 : 김원일의 『노을』을 중심으로","authors":"오자은","doi":"10.20881/SKL.2019..59.007","DOIUrl":null,"url":null,"abstract":"이 글은 『노을』을 빨갱이/백정 아버지를 둔 갑수의 이야기, 현재 중산층 가부장이 된 갑수의 성장 서사로서 살펴보았다. 근대 사회에서 중산층 남성이 된다는 것이 경제적 성실성과 사회적 규범에의 순응을 전제로 길들여지지 않으려 하는 자아의 일부를 깎아내고 배제하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6.25 전후부터 중산층이 늘어난 70년대까지의 한국 사회에서 이는 더 극적으로 나타난다. 반공/개발주의 국가 주도 하에 중산층이 사회안정세력으로 규정되면서, 새로운 중산층 남성상은 공적 영역에 복무하는 핵가족의 가부장성과 이념적 온건성 등을 필수요건으로 삼으며, 국가는 여기에서 벗어나는 모든 경향에 대해 강력한 징벌로 위협한다. 따라서 빨갱이/백정 아버지는 철저히 망각되고 침묵되어야 할 가족사적 기억인 동시에 갑수가 중산층 남성으로 성장하기 위해 배제해야 했던 ‘그림자 상’으로 의미화된다. 사회적으로 천대받는 무법자, 국가의 반역자인 아버지를 둔 갑수에게는 젊은이들이 겪는 보편적 성장의 계기들- ‘대항하고 타협해야 할 완전한 기성세대로서의 아버지’가 부재한다. 대신 그러한 아버지의 부정적 반대상을 통해 체제를 위반할 경우 겪게 될 공포를 추체험하며 그 공포로써 스스로를 훈육해 길들여야 했던 손상된 성장을 겪는다. ‘백정’과 ‘빨갱이’로 상징되는 ‘살’과 ‘이념’에 대한 욕망과 자유를 반납한 채 성장한 갑수는 자발적으로 소시민이 되지만 그것은 완전히 길들여지거나 억압될 수 없으며 악몽을 통해 반복적으로 귀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귀향한 갑수가(할)아버지가 빨갱이였다는 사실을 아들에게 고백하는 것은 성장 과정에서의 결손을 사후적으로 회복하기 위한 주체적 시도이지만, 아버지가 백정이었다는 것만은 끝내 말하지 못한다는 데서 그의 시도가 아직 불완전한 것임이 드러난다. 『노을』은 이런 의미에서 분단과 개발이라는 국가 담론이 지배하는 70년대, ‘갑수’로 표상된 한국 중산층 남성의 성장 서사에 깔린 무의식의 드라마를 보여준다.","PeriodicalId":244864,"journal":{"name":"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0881/SKL.2019..59.00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글은 『노을』을 빨갱이/백정 아버지를 둔 갑수의 이야기, 현재 중산층 가부장이 된 갑수의 성장 서사로서 살펴보았다. 근대 사회에서 중산층 남성이 된다는 것이 경제적 성실성과 사회적 규범에의 순응을 전제로 길들여지지 않으려 하는 자아의 일부를 깎아내고 배제하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6.25 전후부터 중산층이 늘어난 70년대까지의 한국 사회에서 이는 더 극적으로 나타난다. 반공/개발주의 국가 주도 하에 중산층이 사회안정세력으로 규정되면서, 새로운 중산층 남성상은 공적 영역에 복무하는 핵가족의 가부장성과 이념적 온건성 등을 필수요건으로 삼으며, 국가는 여기에서 벗어나는 모든 경향에 대해 강력한 징벌로 위협한다. 따라서 빨갱이/백정 아버지는 철저히 망각되고 침묵되어야 할 가족사적 기억인 동시에 갑수가 중산층 남성으로 성장하기 위해 배제해야 했던 ‘그림자 상’으로 의미화된다. 사회적으로 천대받는 무법자, 국가의 반역자인 아버지를 둔 갑수에게는 젊은이들이 겪는 보편적 성장의 계기들- ‘대항하고 타협해야 할 완전한 기성세대로서의 아버지’가 부재한다. 대신 그러한 아버지의 부정적 반대상을 통해 체제를 위반할 경우 겪게 될 공포를 추체험하며 그 공포로써 스스로를 훈육해 길들여야 했던 손상된 성장을 겪는다. ‘백정’과 ‘빨갱이’로 상징되는 ‘살’과 ‘이념’에 대한 욕망과 자유를 반납한 채 성장한 갑수는 자발적으로 소시민이 되지만 그것은 완전히 길들여지거나 억압될 수 없으며 악몽을 통해 반복적으로 귀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귀향한 갑수가(할)아버지가 빨갱이였다는 사실을 아들에게 고백하는 것은 성장 과정에서의 결손을 사후적으로 회복하기 위한 주체적 시도이지만, 아버지가 백정이었다는 것만은 끝내 말하지 못한다는 데서 그의 시도가 아직 불완전한 것임이 드러난다. 『노을』은 이런 의미에서 분단과 개발이라는 국가 담론이 지배하는 70년대, ‘갑수’로 표상된 한국 중산층 남성의 성장 서사에 깔린 무의식의 드라마를 보여준다.
“肉”与“理念”:中产阶级男性成长叙事的无意识:以金元一的《霞光》为中心
这篇文章把《霞光》作为赤色分子/屠夫的甲洙的故事和现在成为中产阶级家长的甲洙的成长叙事来考察。在近代社会中产阶级男性的经济和社会规范的顺应诚实为前提,不愿被驯服的自我贬低的一部分,叫做排除的过程中,6。25前后至中产阶级增加,70年代的韩国社会中这是更戏剧性地出现。反共/개발주의国家主导下,随着中产阶级的势力规定为社会稳定,新中产男性思想,在公共领域服务的小家庭的家长把成果理念온건성等作为必要条件,国家对摆脱这里的所有倾向以强硬的惩罚的威胁。因此,赤色分子/屠夫的父亲是应该彻底被遗忘和沉默的家族历史记忆,同时也被意义化为甲洙为了成长为中产阶层男性而必须排除的“影子像”。在社会上受到蔑视的无法无天者、父亲是国家叛徒的甲洙缺乏年轻人普遍成长的契机——“作为必须对抗和妥协的成年一代的父亲”。取而代之的是,通过父亲的这种否定和反对,回忆违反体制时所经历的恐惧,并通过这种恐惧来教训自己,经历受损的成长。甲洙放弃了以“屠夫”和“赤色分子”为象征的对“肉”和“理念”的欲望和自由而成长,他自发地成为小市民,但这不能完全被驯服或被压迫,而是通过噩梦反复回归。这些方面中,返乡的갑수(的)父亲赤色分子向儿子坦白的事实是成长过程中的亏损,事后的恢复为主体的尝试,但终究只是父亲的屠夫你都不会说,他的尝试还是不完全的共识是有突出的表现。从这个意义上说,《霞光》展现了在分裂和开发这一国家讨论支配的70年代,被象征为“甲洙”的韩国中产阶层男性成长叙事中隐藏的无意识的电视剧。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