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한국의 소비자역량지표」의 타당화 연구","authors":"손지연, 사지연","doi":"10.15723/JCPS.48.1.201704.8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소비자의 소비자역량 측정에 사용되어온 기존의 척도를 측정 타당화하여 소비자교육 및 정보제공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타당한 소비자역량지표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4 한국의 소비자역량지표」 내 81개 문항을 바탕으로 난이도분석, 변별력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식 문항을 대상으로는 난이도와 변별력을 평가하였으며, 태도와 실천 문항을 대상으로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측정 타당화 결과 기존 지표 내의 중영역은 상당 부분이 해체되어 새롭게 구성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내적일관성, 공통성, 상관도, 단일차원성, 요인부하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부 문항의 삭제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지식 20문항, 소비자태도 20문항, 소비자실천 17문항의 총 57문항으로 이루어진 측정 타당화된 소비자역량지표가 완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편된 소비자역량지표는 향후 우리나라 성인소비자의 소비자역량을 측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PeriodicalId":228567,"journal":{"name":"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volume":"37 12","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23/JCPS.48.1.201704.8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소비자의 소비자역량 측정에 사용되어온 기존의 척도를 측정 타당화하여 소비자교육 및 정보제공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타당한 소비자역량지표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4 한국의 소비자역량지표」 내 81개 문항을 바탕으로 난이도분석, 변별력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식 문항을 대상으로는 난이도와 변별력을 평가하였으며, 태도와 실천 문항을 대상으로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측정 타당화 결과 기존 지표 내의 중영역은 상당 부분이 해체되어 새롭게 구성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내적일관성, 공통성, 상관도, 단일차원성, 요인부하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부 문항의 삭제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지식 20문항, 소비자태도 20문항, 소비자실천 17문항의 총 57문항으로 이루어진 측정 타당화된 소비자역량지표가 완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편된 소비자역량지표는 향후 우리나라 성인소비자의 소비자역량을 측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