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Narrative Pedagogy and Self-Agency of Korean Christian Women","authors":"Min Sun Lee","doi":"10.17968/JCEK.2018..53.00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한국의 개신교회 교회 여성들을 위해 선택된 내러티브 패 다고지가 여성신학이 추구하는 방식으로 여성의 주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교육학(페다고지)가 어떻게 교회 여성들의 주체성을 강화하는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성 차별적인 관행과 방향에 관한 문제 제기를 수용 하지 않으려는 신앙공동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여성들의 생생한 경험한 목소리를 담아내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과 자료수집 방법으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질적 방법론)과 심층 인터뷰가 사용되었다. 교회 여성들의 주체 의식이라는 일반적 주제 연구를 얻기 위해 교회에 헌신적인 11명의 여성이 연구에 참여했다. 이 논문은 여성 들이 자신들의 신앙공동체에서 경험한 배제와 과소평가의 상황에 영향 을 받지 않도록 했기에 기독교교육 전문가가 교회 여성들의 욕구를 이 해하고 그들을 위한 방식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데도, 이 논 문에서는 교육적 방법과 내용으로서 스토리에 초점을 맞춘 하나의 기 독교적 교육 모형을 제시하지 못했다. 다음 연구에서는 교회 여성들이 직접 실천할 수 있는 그래서 그들의 영적 성장과 주체성 강화에 도움이 되는 하나의 실질적인 교육모형이 개발되기를 제안한다.","PeriodicalId":220299,"journal":{"name":"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volume":"8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968/JCEK.2018..53.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의 개신교회 교회 여성들을 위해 선택된 내러티브 패 다고지가 여성신학이 추구하는 방식으로 여성의 주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교육학(페다고지)가 어떻게 교회 여성들의 주체성을 강화하는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성 차별적인 관행과 방향에 관한 문제 제기를 수용 하지 않으려는 신앙공동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여성들의 생생한 경험한 목소리를 담아내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과 자료수집 방법으로 내러티브 연구방법(질적 방법론)과 심층 인터뷰가 사용되었다. 교회 여성들의 주체 의식이라는 일반적 주제 연구를 얻기 위해 교회에 헌신적인 11명의 여성이 연구에 참여했다. 이 논문은 여성 들이 자신들의 신앙공동체에서 경험한 배제와 과소평가의 상황에 영향 을 받지 않도록 했기에 기독교교육 전문가가 교회 여성들의 욕구를 이 해하고 그들을 위한 방식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데도, 이 논 문에서는 교육적 방법과 내용으로서 스토리에 초점을 맞춘 하나의 기 독교적 교육 모형을 제시하지 못했다. 다음 연구에서는 교회 여성들이 직접 실천할 수 있는 그래서 그들의 영적 성장과 주체성 강화에 도움이 되는 하나의 실질적인 교육모형이 개발되기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