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의 새로운 극장시대-연극적 코스모폴리타니즘과 프로젝트연극시대의 개막

전정옥
{"title":"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의 새로운 극장시대-연극적 코스모폴리타니즘과 프로젝트연극시대의 개막","authors":"전정옥","doi":"10.18396/ktsa.2020.1.73.006","DOIUrl":null,"url":null,"abstract":"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러시아 사회 전반의 급격한 변화는 러시아연극도 예외가 아니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 정부는 소비에트 시대 문화 전반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지를 거둬들이며 대표적으로 구극장들의 낡은 시스템에 관해 언급했다. 소비에트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던 국립극장이 난립하는 상황에서 이 모든 극장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더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했고, 그런 바 2000년대 이후 러시아 레퍼토리극장의 운명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숙의가 진행되었다. 연극계 전반에서 새로운 극장 조직과 창작의 형태 및 예술적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페레스트로이카를 전후로 한 시대적 요청에 의한 것이었으며, 구체적인 변화들이 있었다고 한다면 그것은 시대에 부합하기 위한 러시아연극의 쉽지 않은 자기인식의 결과물들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동시대 러시아연극의 흐름을 외부자의 관점에서 조망하고 최근 러시아극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러시아 연극계 전반의 근본적인 변화 양상을 바탕으로 동시대 러시아연극에 도래한 새로운 극장시대의 실험과 혁신의 현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연극의 굵직한 변화의 중심에는 자신의 생태적 본질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견지하고 러시아연극의 실험과 혁신을 이끈 러시아극장이 있으며, 이들이 내건 새로운 극장 운영방식은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의 새로운 동력을 살필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러시아연극사에 있어 ‘극장’ 개념에 대한 논의 과정을 추이하고,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새롭게 대두된 극장의 기능과 역할이 동시대러시아연극에 어떠한 연극미학적 혁신을 끌어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새로운 극장시대’를 확인할 만한 극장으로는 발틱 하우스(Балтийс кий дом), 아소브냐크(Особняк), 프락티카(Практика), 씨어터 독(Теа тра. doc), 나치 극장(Театр Наций), 극작가와 예술가센터(Центр дра матургии и режиссуры), 드라마예술학교(Школы драматического искусства), 엘렉트로극장스타니슬랍스키(Электротеатр Станиславск ий)등이 있다. 이들 극장의 최근 행보를 통해 레퍼토리연극시대로부터 프로젝트연극시대로의 진화 과정을 목격하고 ‘성지’이자 ‘집’으로 기능했던 러시아극장이 연극적 코스모폴리타니즘으로서의 극장 기능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9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96/ktsa.2020.1.73.00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러시아 사회 전반의 급격한 변화는 러시아연극도 예외가 아니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 정부는 소비에트 시대 문화 전반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지를 거둬들이며 대표적으로 구극장들의 낡은 시스템에 관해 언급했다. 소비에트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던 국립극장이 난립하는 상황에서 이 모든 극장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더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했고, 그런 바 2000년대 이후 러시아 레퍼토리극장의 운명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숙의가 진행되었다. 연극계 전반에서 새로운 극장 조직과 창작의 형태 및 예술적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페레스트로이카를 전후로 한 시대적 요청에 의한 것이었으며, 구체적인 변화들이 있었다고 한다면 그것은 시대에 부합하기 위한 러시아연극의 쉽지 않은 자기인식의 결과물들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동시대 러시아연극의 흐름을 외부자의 관점에서 조망하고 최근 러시아극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러시아 연극계 전반의 근본적인 변화 양상을 바탕으로 동시대 러시아연극에 도래한 새로운 극장시대의 실험과 혁신의 현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연극의 굵직한 변화의 중심에는 자신의 생태적 본질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견지하고 러시아연극의 실험과 혁신을 이끈 러시아극장이 있으며, 이들이 내건 새로운 극장 운영방식은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의 새로운 동력을 살필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러시아연극사에 있어 ‘극장’ 개념에 대한 논의 과정을 추이하고,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새롭게 대두된 극장의 기능과 역할이 동시대러시아연극에 어떠한 연극미학적 혁신을 끌어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새로운 극장시대’를 확인할 만한 극장으로는 발틱 하우스(Балтийс кий дом), 아소브냐크(Особняк), 프락티카(Практика), 씨어터 독(Теа тра. doc), 나치 극장(Театр Наций), 극작가와 예술가센터(Центр дра матургии и режиссуры), 드라마예술학교(Школы драматического искусства), 엘렉트로극장스타니슬랍스키(Электротеатр Станиславск ий)등이 있다. 이들 극장의 최근 행보를 통해 레퍼토리연극시대로부터 프로젝트연극시대로의 진화 과정을 목격하고 ‘성지’이자 ‘집’으로 기능했던 러시아극장이 연극적 코스모폴리타니즘으로서의 극장 기능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后苏维埃戏剧的新剧场时代——戏剧的波斯人主义和戏剧计划时代的开幕
因改革引起的俄罗斯整个社会的急剧变化,俄罗斯戏剧也不例外。改革后,俄罗斯政府获得了国家对苏维埃时代文化的全面支持,并提及了旧剧场的旧系统。作为苏维埃文化政策的一环建立的国立剧场到处都是,在这种情况下,政府不可能再对所有剧场进行支援。2000年以后,对俄罗斯保留剧场的命运进行了多种方式的讨论。整个戏剧界中新的剧场组织和创作的形式及艺术方向开始讨论的是对改革开放前后的时代要求的,有具体的变化,那就是为了符合时代俄罗斯话剧的不容易자기인식是它就会的结果。本研究中对改革开放以来俄罗斯当代戏剧的,外部的角度眺望潮流,最近俄罗斯剧场为中心展开的俄罗斯整个戏剧界的根本变化情况为基础,同时代俄罗斯对话剧的新剧场时代到来的实验和创新的,想看一看我们的现场。改革以后,俄罗斯戏剧的粗变化的中心,对自己的生态本质坚持批判性视线,带领俄罗斯戏剧的实验和创新的俄罗斯,有剧场,他们提出的“新剧场运营方式的后苏维埃时代话剧的新的动力可以观察到的一条,因为根据。为此,对俄罗斯戏剧史上“剧场”概念的讨论过程进行了研究,对改革后新抬头的剧场的功能和作用对同时代俄罗斯话剧带来了怎样的话剧美学革新进行了研究。改革开放以后,莫斯科和圣彼得堡为中心的“新剧院时代”可确认的剧场是波罗house(ιаπтийскийдом)、麻生布尼亚克(Особняк)、프락티카(Практика),某开始船坞(这次еатра。doc)、纳粹剧场(这次еатрНа学生ий)、剧作家和艺术家中心(中国ентрдраматургииирежиссур),她的电视剧艺术学校(Шкоπ的драматическогоискусства)、埃莱克特罗剧场斯塔尼斯拉夫斯基(ЭπектротеатрСтанисπавский)等。通过这些剧场最近的行动,目睹了从保留剧目话剧时代向项目话剧时代的进化过程,确认了曾起到“圣地”和“家”作用的俄罗斯剧场蜕变成话剧cosmo politarism的剧场功能的过程。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