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Practice of Flipped Learning in College : Cases of a Korean University","authors":"Jinsun Kim, M. Jang, Y. Park","doi":"10.26857/jlls.2019.2.15.1.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플립드러닝의 실제적 다양성을 기술(記述)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위치한 A 대학에서 플립드러닝 수업 경험이 있는 다섯 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플립드러닝 효과에 대한 인식’, ‘참여 동기 및 계기’, ‘플립드러닝 수업 설계, 개발, 운영’의 분석 유목을 도출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 수업의 설계, 사전 동영상의 성격과 개발/활용, 수업 중 활동 등이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었다. 수업은 대략 토론활동 중심, 소그룹 협력활동 중심, 프로젝트 중심 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됨에도 면담에 참여한 교수자들은 모두 플립드러닝 전략이 효과가 있었다고 인식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효과의 기저에는 교수자가 지니고 있었던 수업에 대한 열정,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 그리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대학 당국의 노력과 지원 등이 주효하였다고 분석하였다.","PeriodicalId":438171,"journal":{"name":"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volume":"9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6857/jlls.2019.2.15.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플립드러닝의 실제적 다양성을 기술(記述)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위치한 A 대학에서 플립드러닝 수업 경험이 있는 다섯 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플립드러닝 효과에 대한 인식’, ‘참여 동기 및 계기’, ‘플립드러닝 수업 설계, 개발, 운영’의 분석 유목을 도출하였다. 분석한 결과, 전체 수업의 설계, 사전 동영상의 성격과 개발/활용, 수업 중 활동 등이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었다. 수업은 대략 토론활동 중심, 소그룹 협력활동 중심, 프로젝트 중심 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됨에도 면담에 참여한 교수자들은 모두 플립드러닝 전략이 효과가 있었다고 인식하였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효과의 기저에는 교수자가 지니고 있었던 수업에 대한 열정,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 그리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대학 당국의 노력과 지원 등이 주효하였다고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