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e-Chil Lee, Ki-Bong Park, Il-Yeong Hwang, D. Yang
{"title":"Osteolytic Lesion of the Fibular Head after Cemented Total Knee Arthroplasty","authors":"Chae-Chil Lee, Ki-Bong Park, Il-Yeong Hwang, D. Yang","doi":"10.4055/JKOA.2021.56.1.87","DOIUrl":null,"url":null,"abstract":"83세 여성 환자가 내원 5년 전부터 시작된 간헐적인 우측 무릎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신장 144.1 cm, 체중 51.1 kg, 체질량지수 24.6 kg/m의 체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외부 활 동이 거의 없는 주부로 지내고 있었다. 환자는 내원 20년 전인 1999년 Nexgen LPS 제품(Zimmer, Warsaw, IN, USA)을 사 용하여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으며 일차 수술 11년 후인 2010년 좌측 대퇴 치환물의 해리로 인해 재치환술을 받았던 수 술력이 있었다. 환자는 일차 수술 15년 후인 2014년부터 간헐적 인 우측 무릎 통증으로 약물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받았고 이 후 2년 후인 2016년부터 약 3년간 외래 추시는 되지 않다가 최 근 특별한 외상 병력 없이 우측 무릎 통증이 다시 악화되어 내원 하였다. 신체 검진상 우측 무릎의 전반적인 부종과 비골 두 위치에서 국소적인 압통 소견이 있었으며 발적이나 국소 열감과 같은 감 염 소견 및 비골 신경 증상은 없었다. 외반 외력 검사상 중등도의 내측 불안정성이 관찰되었으며 관절 운동 범위는 신전 0도, 굴곡 120도 소견을 보였다. 일반 방사선 사진상 대퇴 및 슬개 치환물 주위의 해리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골 치환물의 내반 변형 (ß각, 99.6도) 및 해리, 비골 두의 골용해 및 골파괴 소견, 우측 하 지의 14도 내반 변형이 관찰되었다. 내외반 외력 방사선 검사상 내측 구획 간격의 과도한 증가가 동반된 내측 불안정정 소견을 보였다(Fig. 1). 단층촬영 검사상 근위 비골의 파괴 및 비골 주위 낭종-양 병변이 동반되었으며 근위 경비골 관절의 손상 및 경골 치환물 주위 해리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2). 감염성 해리를 감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 87","PeriodicalId":258160,"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4055/JKOA.2021.56.1.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83세 여성 환자가 내원 5년 전부터 시작된 간헐적인 우측 무릎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신장 144.1 cm, 체중 51.1 kg, 체질량지수 24.6 kg/m의 체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외부 활 동이 거의 없는 주부로 지내고 있었다. 환자는 내원 20년 전인 1999년 Nexgen LPS 제품(Zimmer, Warsaw, IN, USA)을 사 용하여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으며 일차 수술 11년 후인 2010년 좌측 대퇴 치환물의 해리로 인해 재치환술을 받았던 수 술력이 있었다. 환자는 일차 수술 15년 후인 2014년부터 간헐적 인 우측 무릎 통증으로 약물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받았고 이 후 2년 후인 2016년부터 약 3년간 외래 추시는 되지 않다가 최 근 특별한 외상 병력 없이 우측 무릎 통증이 다시 악화되어 내원 하였다. 신체 검진상 우측 무릎의 전반적인 부종과 비골 두 위치에서 국소적인 압통 소견이 있었으며 발적이나 국소 열감과 같은 감 염 소견 및 비골 신경 증상은 없었다. 외반 외력 검사상 중등도의 내측 불안정성이 관찰되었으며 관절 운동 범위는 신전 0도, 굴곡 120도 소견을 보였다. 일반 방사선 사진상 대퇴 및 슬개 치환물 주위의 해리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골 치환물의 내반 변형 (ß각, 99.6도) 및 해리, 비골 두의 골용해 및 골파괴 소견, 우측 하 지의 14도 내반 변형이 관찰되었다. 내외반 외력 방사선 검사상 내측 구획 간격의 과도한 증가가 동반된 내측 불안정정 소견을 보였다(Fig. 1). 단층촬영 검사상 근위 비골의 파괴 및 비골 주위 낭종-양 병변이 동반되었으며 근위 경비골 관절의 손상 및 경골 치환물 주위 해리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2). 감염성 해리를 감 pISSN : 1226-2102, eISSN : 2005-8918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