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eneration Conflicts in Yum, Sang-sub's Novels

Jung-jin Kim
{"title":"A Study on Generation Conflicts in Yum, Sang-sub's Novels","authors":"Jung-jin Kim","doi":"10.31323/sh.2018.06.29.03","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염상섭의 주요소설에 나타난 세대갈등 양상을 연구하여 그 의미를 천착하였다. 통상 다수의 염상섭 소설의 세대갈등은 작품의 주요 모티브가 되고 그 변모 양상이 염상섭의 소설사적 변화과정을 해석하는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920년대 『제야』, 『이심』, 『광분』, 『사랑과 죄』를 그 대상으로 하고, 1930년대에는 『삼대』,『무화과』,『불연속선』, 그리고 후기소설로는 『효풍』, 『미망인』, 『화관』 그리고 『대를 물려서』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전반적인 세대갈등 양상은 초기에는 강압적 관계이고 중기에는 비판적 공존의 의미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후기에 와서 세대갈등 양상은 구세대의 주장이 신세대에 의해 극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의 갈등은 은폐 및 생략의 양상을 보였다면 1930년대에는 보다 복잡다단한 양상을 보였다. 구세대의 오류와 혼란으로 신세대와의 갈등이 심화되지만 대개 비극적 결말을 노정했다. 후기에는 세대간 갈등이 역전되었는데, 그것은 기성세대들의 철학이나 비전이 제시되지 않았고 신세대들의 현실적인 세계관과 그들의 입장에 작품의 초점이 맞추어졌기 때문이다.","PeriodicalId":111621,"journal":{"name":"Study of Humanities","volume":"8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tudy of Humanit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1323/sh.2018.06.29.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고는 염상섭의 주요소설에 나타난 세대갈등 양상을 연구하여 그 의미를 천착하였다. 통상 다수의 염상섭 소설의 세대갈등은 작품의 주요 모티브가 되고 그 변모 양상이 염상섭의 소설사적 변화과정을 해석하는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920년대 『제야』, 『이심』, 『광분』, 『사랑과 죄』를 그 대상으로 하고, 1930년대에는 『삼대』,『무화과』,『불연속선』, 그리고 후기소설로는 『효풍』, 『미망인』, 『화관』 그리고 『대를 물려서』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전반적인 세대갈등 양상은 초기에는 강압적 관계이고 중기에는 비판적 공존의 의미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후기에 와서 세대갈등 양상은 구세대의 주장이 신세대에 의해 극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의 갈등은 은폐 및 생략의 양상을 보였다면 1930년대에는 보다 복잡다단한 양상을 보였다. 구세대의 오류와 혼란으로 신세대와의 갈등이 심화되지만 대개 비극적 결말을 노정했다. 후기에는 세대간 갈등이 역전되었는데, 그것은 기성세대들의 철학이나 비전이 제시되지 않았고 신세대들의 현실적인 세계관과 그들의 입장에 작품의 초점이 맞추어졌기 때문이다.
严尚燮小说中的代际冲突研究
本稿对廉相燮主要小说中出现的世代矛盾现象进行了研究,并研究了其意义。因为,通常多数廉相燮小说的世代矛盾会成为作品的主要主题,而其变化情况有可能成为解释廉相燮小说史变化过程的根据。1920年代《第要》、《二心集》、《疯狂》、《爱与罪》为其对象,1930年代《三代》,《无花果》、《불연속선》以及后期小说有《孝丰》,《寡妇》,《花冠》以及《咬架》为研究的对象。整个世代的矛盾在初期是强压性的关系,在中期转变为批判共存的意义。而到了后期,世代矛盾的状况显示出了旧时代的主张被新一代克服的倾向。如果说初期的矛盾表现出了隐瞒及省略的面貌,那么在20世纪30年代则表现出了更加复杂的面貌。虽然因旧时代的错误和混乱,与新一代的矛盾加深,但大部分都是悲剧性的结局。后期世代间的矛盾发生了逆转,因为没有提出成年一代的哲学和飞跃,而是把作品的焦点放在了新一代的现实世界观和他们的立场上。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