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lidity of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s (BeDevel-Q/T): An early screening tool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itle":"The Validity of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s (BeDevel-Q/T): An early screening tool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uthors":"Kyungsook Lee, S. Jung, Young Woo Shin, Y. Cho","doi":"10.35574/kjdp.2020.6.33.2.12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9~47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교사 보고용 설문 검사도구인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교사용 설문지(BeDevel-Q/T: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의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217명 (일반발달군 179명, ASD군 32명, 발달지연군 6명)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총 1,936명, 이 중 일반발달군 1,833명, ASD군 62명, 발달지연군 41명)에서 예비 문항,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9~11개월, 12~23개월, 24~35개월, 36~47개월로 구분되며, 월령별로 7~27개 문항으로 구성되고, 3개 하위요인 이 도출되었다. BeDevel-Q/T와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과의 상관분석 및 일반발달 집단, ASD 집단, 발달지연 집단간 차이 분석을 활용하여 BeDevelQ/T의 타당도를 검정하였고, 본 척도는 받아들일 만한 수준의 타당도를 보였다. BeDevel-Q/T는 민 감도(50.0~85.0%), 특이도(59.6~84.8%), 문항 내적 일치도(Cronbach's α=.72~.76), 검사-재검사 신 뢰도(R=.79~.94)에서도 높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BeDevel-Q/T가 한국의 보육 및 교육환경에 서 영유아기 ASD를 조기 선별하는 간편선별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32444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6-1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574/kjdp.2020.6.33.2.1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9~47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교사 보고용 설문 검사도구인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교사용 설문지(BeDevel-Q/T: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의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217명 (일반발달군 179명, ASD군 32명, 발달지연군 6명)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총 1,936명, 이 중 일반발달군 1,833명, ASD군 62명, 발달지연군 41명)에서 예비 문항,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9~11개월, 12~23개월, 24~35개월, 36~47개월로 구분되며, 월령별로 7~27개 문항으로 구성되고, 3개 하위요인 이 도출되었다. BeDevel-Q/T와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과의 상관분석 및 일반발달 집단, ASD 집단, 발달지연 집단간 차이 분석을 활용하여 BeDevelQ/T의 타당도를 검정하였고, 본 척도는 받아들일 만한 수준의 타당도를 보였다. BeDevel-Q/T는 민 감도(50.0~85.0%), 특이도(59.6~84.8%), 문항 내적 일치도(Cronbach's α=.72~.76), 검사-재검사 신 뢰도(R=.79~.94)에서도 높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BeDevel-Q/T가 한국의 보육 및 교육환경에 서 영유아기 ASD를 조기 선별하는 간편선별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