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lidity of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s (BeDevel-Q/T): An early screening tool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Kyungsook Lee, S. Jung, Young Woo Shin, Y. Cho
{"title":"The Validity of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s (BeDevel-Q/T): An early screening tool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uthors":"Kyungsook Lee, S. Jung, Young Woo Shin, Y. Cho","doi":"10.35574/kjdp.2020.6.33.2.12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9~47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교사 보고용 설문 검사도구인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교사용 설문지(BeDevel-Q/T: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의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217명 (일반발달군 179명, ASD군 32명, 발달지연군 6명)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총 1,936명, 이 중 일반발달군 1,833명, ASD군 62명, 발달지연군 41명)에서 예비 문항,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9~11개월, 12~23개월, 24~35개월, 36~47개월로 구분되며, 월령별로 7~27개 문항으로 구성되고, 3개 하위요인 이 도출되었다. BeDevel-Q/T와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과의 상관분석 및 일반발달 집단, ASD 집단, 발달지연 집단간 차이 분석을 활용하여 BeDevelQ/T의 타당도를 검정하였고, 본 척도는 받아들일 만한 수준의 타당도를 보였다. BeDevel-Q/T는 민 감도(50.0~85.0%), 특이도(59.6~84.8%), 문항 내적 일치도(Cronbach's α=.72~.76), 검사-재검사 신 뢰도(R=.79~.94)에서도 높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BeDevel-Q/T가 한국의 보육 및 교육환경에 서 영유아기 ASD를 조기 선별하는 간편선별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PeriodicalId":324449,"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6-1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574/kjdp.2020.6.33.2.1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9~47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교사 보고용 설문 검사도구인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교사용 설문지(BeDevel-Q/T: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의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217명 (일반발달군 179명, ASD군 32명, 발달지연군 6명)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총 1,936명, 이 중 일반발달군 1,833명, ASD군 62명, 발달지연군 41명)에서 예비 문항,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9~11개월, 12~23개월, 24~35개월, 36~47개월로 구분되며, 월령별로 7~27개 문항으로 구성되고, 3개 하위요인 이 도출되었다. BeDevel-Q/T와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과의 상관분석 및 일반발달 집단, ASD 집단, 발달지연 집단간 차이 분석을 활용하여 BeDevelQ/T의 타당도를 검정하였고, 본 척도는 받아들일 만한 수준의 타당도를 보였다. BeDevel-Q/T는 민 감도(50.0~85.0%), 특이도(59.6~84.8%), 문항 내적 일치도(Cronbach's α=.72~.76), 검사-재검사 신 뢰도(R=.79~.94)에서도 높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BeDevel-Q/T가 한국의 보육 및 교육환경에 서 영유아기 ASD를 조기 선별하는 간편선별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幼儿行为发展筛查的效度-问卷/教师(bedev - q /T):一种婴幼儿自闭症谱系障碍早期筛查工具
本研究以9 - 47个月婴幼儿为对象,验证了教师报告用问卷检查工具“蹒跚学步儿童行为发展筛选尺度-教师用问卷调查”(BeDevel-Q/T: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的可行性。对217人(一般发达群179人,ASD群32人,发育迟缓群6人)进行了预备调查。本调查(共1,936人,其中普通发育群1,833人,ASD群62人,发育迟缓群41人)测试了预备问题、M-CHAT、BITSEA对自闭症筛选敏感问题、K-DST的社会性领域。结果分为9 - 11个月,12 - 23个月,24 - 35个月,36 - 47个月,按月龄分为7 - 27个问题,导出了3个下位要素。利用BeDevel-Q/T和M-CHAT、BITSEA对自闭症筛查敏感问题、K-DST与社会性领域的相关性分析以及一般发达群体、ASD群体、发育迟缓群体之间的差异分析,验证了BeDevelQ/T的妥当性,本尺度显示出可以接受的程度。BeDevel-Q/T在敏度(50.0~85.0%)、特异度(59.6~84.8%)、问题内部一致度(Cronbach's α=.72~.76)、检查-再检查新雷度(R=.79~.94)等方面也显示出较高水平。希望BeDevel-Q/T能在韩国的保育及教育环境中,作为早期筛选婴幼儿ASD的简便筛选工具使用。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