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Disparity in Leisure Time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Men and Women who Conduct Economic Activities","authors":"K. Min","doi":"10.38196/mgc.2018.09.33.3.5","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라 여가시간이 불균등하게 배분되어 있는 현황과 그 원인을 파악하고 여가시간이 경제활동하는 남녀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경제적·사회문화적 요인으로부터 남녀 간 여가시간의 불균등이 비롯되고 있으며 여가를 위한 시간의 양은 여가의 질을 설명하지 못 함을 주장한다. 분석결과, 기혼남성에 비해 기혼여성이 가사노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때문에 이들의 여가시간은 매우 적고, 총 노동시간은 상당히 많았다. 기혼여성이 경험하는 시간의 희소성은 여가시간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직업역할과 가족역할의 이중부담은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시간압박감의 증대, 불평등한 성역할 인식은 남녀 간 여가시간의 불균등을 야기하였고, 때문에 여가를 통한 만족감은 여가시간의 양 자체가 아닌 여가시간 희소성에 의해 설명되었다. 이처럼 남녀 간 불균등한 여가시간을 문제 제기하는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고 여가를 통한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PeriodicalId":448338,"journal":{"name":"Media, Gender & Culture","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Media, Gender & Cul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196/mgc.2018.09.33.3.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라 여가시간이 불균등하게 배분되어 있는 현황과 그 원인을 파악하고 여가시간이 경제활동하는 남녀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경제적·사회문화적 요인으로부터 남녀 간 여가시간의 불균등이 비롯되고 있으며 여가를 위한 시간의 양은 여가의 질을 설명하지 못 함을 주장한다. 분석결과, 기혼남성에 비해 기혼여성이 가사노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때문에 이들의 여가시간은 매우 적고, 총 노동시간은 상당히 많았다. 기혼여성이 경험하는 시간의 희소성은 여가시간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직업역할과 가족역할의 이중부담은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시간압박감의 증대, 불평등한 성역할 인식은 남녀 간 여가시간의 불균등을 야기하였고, 때문에 여가를 통한 만족감은 여가시간의 양 자체가 아닌 여가시간 희소성에 의해 설명되었다. 이처럼 남녀 간 불균등한 여가시간을 문제 제기하는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고 여가를 통한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