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How accurately do police officers identify the types of questions used in investigative interviews with child victims?","authors":"Misun Yi, M. Lamb","doi":"10.53302/kjfp.2018.11.9.3.11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 경찰관이 성폭력 피해아동 조사면담 시 사용 하는 질문유형에 대해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추가적으로 질문유형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총 120명의 한국 경찰관들은 50개의 질문에 대해 다섯 가지의 질문유형(진술권유, 촉진어, 구체적 질문, 선택형 질문, 암시적 질문) 중 어느 질문에 해당하는지 답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정확율은 65.6%로 나타났다. 진술 권유(85.5%)에 대한 정확도는 가장 높은 반면, 암시적 질문(42.3%)에 대한 정확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관들은 종종 구체적 질문을 진술권유로 잘못 구별하는 방식으로 진술권유에 대한 사용을 과대 추정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암시적 질문의 경우, 선택형 질문으로 잘못 이해되는 경우가 22.2%이었으며, 구체적 질문으로 오해되는 경우는 15.1%이었다. 암시적 질문을 진술권유로 잘못 이해하는 경우도 5.6% 존재하였다. 이전 NICHD 조사면담 프로토콜에 대한 교육 경험은 더 높은 정확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요인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16563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ORENSIC PSYCHOLOGY","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FORENSIC PSYCH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3302/kjfp.2018.11.9.3.11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경찰관이 성폭력 피해아동 조사면담 시 사용 하는 질문유형에 대해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추가적으로 질문유형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총 120명의 한국 경찰관들은 50개의 질문에 대해 다섯 가지의 질문유형(진술권유, 촉진어, 구체적 질문, 선택형 질문, 암시적 질문) 중 어느 질문에 해당하는지 답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정확율은 65.6%로 나타났다. 진술 권유(85.5%)에 대한 정확도는 가장 높은 반면, 암시적 질문(42.3%)에 대한 정확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관들은 종종 구체적 질문을 진술권유로 잘못 구별하는 방식으로 진술권유에 대한 사용을 과대 추정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암시적 질문의 경우, 선택형 질문으로 잘못 이해되는 경우가 22.2%이었으며, 구체적 질문으로 오해되는 경우는 15.1%이었다. 암시적 질문을 진술권유로 잘못 이해하는 경우도 5.6% 존재하였다. 이전 NICHD 조사면담 프로토콜에 대한 교육 경험은 더 높은 정확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일한 요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