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logical Monitoring for the Management of Sand-bed Stream

W. Kim
{"title":"Ecological Monitoring for the Management of Sand-bed Stream","authors":"W. Kim","doi":"10.17820/ERI.2017.4.1.001","DOIUrl":null,"url":null,"abstract":"c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하천의 변화요인은 매우 다양하다. 대규모 홍수나 가뭄으로 인한 하천 공간의 자연적인 변화도 발생하고, 댐과 같은 인공구조물에 의한 변화도 큰 변화를 유발시 킨다.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인 자연의 변화는 하천의 여 러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하천 홍수량이나 수위 변화 등의 수문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지형이나 어류, 곤충, 식생 등 생태계 전반에 다양한 영향이 나타나게 된다 (Resh et al. 1988). 이와 같은 하천변화의 영향은 대부 분의 경우에 예측하기 곤란하다. 외부의 변화에 대한 하천의 반응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이다. 낙동강의 1차 지류인 내성천은 대표적인 모래 하상 하천으로서 모래하천 고유의 물리적, 생물적 특성을 유 지하고 있다 (Lee et al. 2013). 내성천에는 2009년부터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였 고, 2016년 7월에는 담수를 시작하여 본격적으로 운영 되고 있다. 댐의 건설은 하천에 많은 변화를 유발시키 므로 댐 건설 후의 하천변화에서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Williams and Wolman 1984, Gordon and Meentemeyer 2006, Park et al. 2008). 따라서 내성 천에 댐이 건설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은 다양 하게 나타날 수 있다. 모래 하상의 변화 뿐만 아니라 연 속하여 나타나는 생태계의 다양한 변화는 타 하천의 경 우와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변화를 모니터 링하여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예 상되는 하천의 반응을 파악하는 것은 연구의 차원을 넘 어 하천관리 차원에서도 중요하리라 판단된다. 한국건 설기술연구원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2012년부터 내성천을 장기적으로 조사하여 분석 하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KICT 2016). 이번 특별호에서는 대표적인 모래하천인 내성천에 서 영주댐 운영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댐 운영 이전에 수문, 지형, 하상변동, 어류, 곤충 등에 대하여 현황을 파악한 논문을 수록하였다. 먼저 Kim and Lee (2017)는 영주댐 운영전의 내성천 수문특성을 분석하였다. 영주댐 공사가 시작되고 난 후 2016년 7월 담수시까지의 수문자료와 지형 측량, 사진 모니터링 방 법을 이용하여 하천에 발생한 식생의 변화를 분석한 결 과 홍수 흐름과 식생발생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지하수위 변화로 인한 식생의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측량 성과를 이용하여 내성천의 수로형태 변화도 분석하였다 (Lee and Kim 2017). 2012 2016년 동안 항공 라이다 및 하천 측량을 통해 수로의 변화를 분석한","PeriodicalId":415343,"journal":{"name":"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3-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820/ERI.2017.4.1.0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c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하천의 변화요인은 매우 다양하다. 대규모 홍수나 가뭄으로 인한 하천 공간의 자연적인 변화도 발생하고, 댐과 같은 인공구조물에 의한 변화도 큰 변화를 유발시 킨다.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인 자연의 변화는 하천의 여 러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하천 홍수량이나 수위 변화 등의 수문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지형이나 어류, 곤충, 식생 등 생태계 전반에 다양한 영향이 나타나게 된다 (Resh et al. 1988). 이와 같은 하천변화의 영향은 대부 분의 경우에 예측하기 곤란하다. 외부의 변화에 대한 하천의 반응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이다. 낙동강의 1차 지류인 내성천은 대표적인 모래 하상 하천으로서 모래하천 고유의 물리적, 생물적 특성을 유 지하고 있다 (Lee et al. 2013). 내성천에는 2009년부터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였 고, 2016년 7월에는 담수를 시작하여 본격적으로 운영 되고 있다. 댐의 건설은 하천에 많은 변화를 유발시키 므로 댐 건설 후의 하천변화에서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Williams and Wolman 1984, Gordon and Meentemeyer 2006, Park et al. 2008). 따라서 내성 천에 댐이 건설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은 다양 하게 나타날 수 있다. 모래 하상의 변화 뿐만 아니라 연 속하여 나타나는 생태계의 다양한 변화는 타 하천의 경 우와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변화를 모니터 링하여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예 상되는 하천의 반응을 파악하는 것은 연구의 차원을 넘 어 하천관리 차원에서도 중요하리라 판단된다. 한국건 설기술연구원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2012년부터 내성천을 장기적으로 조사하여 분석 하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KICT 2016). 이번 특별호에서는 대표적인 모래하천인 내성천에 서 영주댐 운영에 따른 생태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댐 운영 이전에 수문, 지형, 하상변동, 어류, 곤충 등에 대하여 현황을 파악한 논문을 수록하였다. 먼저 Kim and Lee (2017)는 영주댐 운영전의 내성천 수문특성을 분석하였다. 영주댐 공사가 시작되고 난 후 2016년 7월 담수시까지의 수문자료와 지형 측량, 사진 모니터링 방 법을 이용하여 하천에 발생한 식생의 변화를 분석한 결 과 홍수 흐름과 식생발생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지하수위 변화로 인한 식생의 영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측량 성과를 이용하여 내성천의 수로형태 변화도 분석하였다 (Lee and Kim 2017). 2012 2016년 동안 항공 라이다 및 하천 측량을 통해 수로의 변화를 분석한
沙河床管理的生态监测
c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all rights reserved。this is an open -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reativecommons attribution non - commercial license (http: / /听说过。org / licenses / by - nc / 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河流的变化因素多种多样。大规模洪水和干旱会导致河川空间的自然变化,大坝等人工构造物的变化也会引发很大的变化。自然或人工的自然变化影响河流的各个侧面。不仅会受到河川洪水量或水位变化等水文性的影响,还会对地形、鱼类、昆虫、植被等整个生态界产生多样的影响(Resh et al. 1988)。这种河流变化的影响在大部分情况下是难以预测的。这就是研究河流对外部变化的反应的重要原因。洛东江的第一支流内城川是典型的沙河河床河流,具有沙河固有的物理、生物特性(Lee et al. 2013)。内城川从2009年开始作为四大江工程的一环建设了荣州水库,并于2016年7月开始进行淡水灌溉,正式投入运营。由于水库的建设会给河流带来很多变化,因此对水库建设后的河流变化进行了很多研究(Williams and Wolman 1984, Gordon and Meentemeyer 2006, Park et al. 2008)。因此,在内城川建设大坝会产生多种影响。不仅是沙河上的变化,连续出现的生态界的多样变化,预计将与其他河流的景况不同。监测这样的变化,掌握变化的情况,并以此为基础掌握今后预想的河川反应,这不仅是研究的层面,在河川管理的层面上也很重要。韩国建设技术研究院为了监测这样的变化,从2012年开始持续对内城川进行长期调查分析的研究(KICT 2016)。这次特别号为了掌握代表性的沙河——内城川的永州水库运营带来的生态界变化,收录了水库运营之前对水文、地形、河床变动、鱼类、昆虫等掌握现状的论文。首先,Kim and Lee(2017)分析了荣州水库运行前的内城川水文特性。永州水库工程开工后,2016年7月淡水时为止的水文资料和地形测绘,利用照片监控方法河川上发生的植被变化的决策和分析趋势和植被发生洪水的关系可以把握,浅变化导致植被的影响也可以确认了。并利用测量成果分析了内城川河道形态变化(Lee and Kim 2017)。通过对2012年至2016年期间航空骑行及河流测量,分析河道变化的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