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동영상 공유 플랫폼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 채널을 중심으로","authors":"김미리, 전주언","doi":"10.17961/JDMR.22.2.201904.25","DOIUrl":null,"url":null,"abstract":"기업들의 소셜 미디어 활동을 검증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소셜 미디어 활동과 그 동기를 추정하기 위한 자료수집과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소셜 미디어의 실제 활동성과와 시장성과 지표인 브랜드 자산 추정을 위한 자료 수집과 분석은 부족했던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들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브랜드 실무자들이 운영하는 소셜 미디어 활동 중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브랜드 채널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검증하고자 했다. 실증검증을 위해 연구자들은 인터브랜드의 브랜드 자산 지표 상위 100개의 브랜드들을 선정한 후 해당 브랜드들의 유튜브 브랜드 채널 활동을 분석해 인과관계를 추정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브랜드 채널의 동영상 수와 유관 채널수는 브랜드 채널의 구독자수를 높여 브랜드 자산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채널을 구독하는 시청자와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선행되어야 브랜드 자산이 상승할 수 있으며, 브랜드 컨텐츠 조회수는 브랜드 자산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했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961/JDMR.22.2.201904.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기업들의 소셜 미디어 활동을 검증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소셜 미디어 활동과 그 동기를 추정하기 위한 자료수집과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소셜 미디어의 실제 활동성과와 시장성과 지표인 브랜드 자산 추정을 위한 자료 수집과 분석은 부족했던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들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브랜드 실무자들이 운영하는 소셜 미디어 활동 중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브랜드 채널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검증하고자 했다. 실증검증을 위해 연구자들은 인터브랜드의 브랜드 자산 지표 상위 100개의 브랜드들을 선정한 후 해당 브랜드들의 유튜브 브랜드 채널 활동을 분석해 인과관계를 추정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브랜드 채널의 동영상 수와 유관 채널수는 브랜드 채널의 구독자수를 높여 브랜드 자산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채널을 구독하는 시청자와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선행되어야 브랜드 자산이 상승할 수 있으며, 브랜드 컨텐츠 조회수는 브랜드 자산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