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Identification of Growth Regulatory Factors in Medullary Thyroid Carcinoma Cell Line","authors":"Y. Jo, M. Shong","doi":"10.3803/JKES.2009.24.2.84","DOIUrl":null,"url":null,"abstract":"84 갑상선암의 임상 경과는 활동성이 미약한(indolent) 경우 에서부터 가장 공격적인 종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경과를 보이는 갑상선암의 치료 는 갑상선 유두암, 갑상선 여포암, 갑상선 수질암 및 역형성 암과 같은 조직학적 유형에 따라 여러 방법이 시행되고 있 는데, 어느 경우에 해당되든지 수술적 치료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분화암의 경우 수술 후 T4 억제요법과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전신요법으로 사용되나, 방사성 요오드 치료에 저항 성을 갖는 분화 갑상선암, 수질암 및 역형성암 등은 현재로 선 수술 후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는 실정이다[1]. 최근 5년 간 갑상선암의 분자생물학적 발생기전에 관련된 연구가 집 중적으로 이루어지고 표적치료제가 개발되어 1상부터 3상까 지 다양한 단계의 임상연구에 진입해 있지만 아직까지 임상 의에게 확신을 주는 치료제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 이다. 갑상선 수질암의 경우에도 신 등이 기술한 바와 같이 Sorafenib이나 Sunitinib과 같은 키나아제 억제제(kinase inhibitor)들이 임상연구에 진입해 있으나,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 하고 있다[2]. 따라서, 본 연구에서와 같이 갑상선 수질암 세포주에 대한 여러 가지 약물의 성장 억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로 사료된다. 신 등[3]의 연구에서 dexamethasone, estradiol-17-beta, progesterone 및 somatostain과 같은 호르몬과 세포 내 cAMP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forskolin을 사용하여 갑상선 수질암 세포주인 TT 세포주의 성장과 calcitonin 분 비의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는데, 호르몬에 의한 갑상선 수질 암 세포주의 성장 지연과 calcitonin 분비 억제는 이전의 연 구에서 다양한 작용기전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제시된 바 있다. 또한, 신 등이 기술한 forskolin에 의한 RET/PTC 종 양유전자 억제기전도 TSH/cAMP 신호체계를 활성화하여 sodium/iodide symporter (NIS)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 해 갑상선 유두암의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Calcitonin receptor (CTR)은 네 개의 동형(isofrom)이 알 려져 있는데, calcitonin을 왕성하게 분비하는 TT 세포주의 경우 CTR2를 발현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5]. 또한, 신 등의 연구에서와 같이 dexamethasone을 처리할 경우 TT 세 포주의 성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calcitonin의 발현이 감 소하고 반대로 CTR2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이는 TT 세포주에 calcitonin과 CTR2의 자가분비 조절 기전이 존재하며 이러한 조절기전이 TT 세포주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또한, dexamethasone이 calcitonin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calcitonin과 CTR2의 자 가분비 조절기전에 영향을 미쳐 TT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 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한편, dexamethasone을 사용 한 다른 연구에서는 흥미로운 관찰결과를 제시한 바 있는데, dexamethasone이 CA-77 (rat medullary thyroid cancer cell line) 세포주에서 분비되는 alpha-amidating activity를 50~70%까지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반면, calcium과 같은 calcitonin secretogogue를 처리하면 CA-77 세포주에서 분 비되는 alpha-amidating enzym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과는 CA-77 세포주의 성장과 caltonin의 분비가 alpha-amidating activity에 연관되어 있으 며, dexamethasone과 같은 호르몬이 이러한 alpha-amidating activity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CA-77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 함을 시사한다[6].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종합해 볼 때, dexamethasone은 갑상선 수질암 세포주에서 calcitonin의 합성 및 분비와 관련된 다양한 단계에 작용함을 추측할 수 있다. Dexamethasone과 관련된 또 다른 연구에서도 갑상선 수 질암 세포의 성장에 호르몬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 하는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C-cell에서의 calcitonin 분비는 calcium signaling 이외에도 intracellular 3'5'-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에 의해 촉진된다. 흥미 갑상선 수질암 세포주 증식에 영향을 주는 물질 탐색","PeriodicalId":11985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volume":"2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3/JKES.2009.24.2.8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84 갑상선암의 임상 경과는 활동성이 미약한(indolent) 경우 에서부터 가장 공격적인 종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양한 경과를 보이는 갑상선암의 치료 는 갑상선 유두암, 갑상선 여포암, 갑상선 수질암 및 역형성 암과 같은 조직학적 유형에 따라 여러 방법이 시행되고 있 는데, 어느 경우에 해당되든지 수술적 치료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분화암의 경우 수술 후 T4 억제요법과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전신요법으로 사용되나, 방사성 요오드 치료에 저항 성을 갖는 분화 갑상선암, 수질암 및 역형성암 등은 현재로 선 수술 후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는 실정이다[1]. 최근 5년 간 갑상선암의 분자생물학적 발생기전에 관련된 연구가 집 중적으로 이루어지고 표적치료제가 개발되어 1상부터 3상까 지 다양한 단계의 임상연구에 진입해 있지만 아직까지 임상 의에게 확신을 주는 치료제의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 이다. 갑상선 수질암의 경우에도 신 등이 기술한 바와 같이 Sorafenib이나 Sunitinib과 같은 키나아제 억제제(kinase inhibitor)들이 임상연구에 진입해 있으나,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 하고 있다[2]. 따라서, 본 연구에서와 같이 갑상선 수질암 세포주에 대한 여러 가지 약물의 성장 억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로 사료된다. 신 등[3]의 연구에서 dexamethasone, estradiol-17-beta, progesterone 및 somatostain과 같은 호르몬과 세포 내 cAMP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forskolin을 사용하여 갑상선 수질암 세포주인 TT 세포주의 성장과 calcitonin 분 비의 변화양상을 확인하였는데, 호르몬에 의한 갑상선 수질 암 세포주의 성장 지연과 calcitonin 분비 억제는 이전의 연 구에서 다양한 작용기전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제시된 바 있다. 또한, 신 등이 기술한 forskolin에 의한 RET/PTC 종 양유전자 억제기전도 TSH/cAMP 신호체계를 활성화하여 sodium/iodide symporter (NIS)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 해 갑상선 유두암의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Calcitonin receptor (CTR)은 네 개의 동형(isofrom)이 알 려져 있는데, calcitonin을 왕성하게 분비하는 TT 세포주의 경우 CTR2를 발현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5]. 또한, 신 등의 연구에서와 같이 dexamethasone을 처리할 경우 TT 세 포주의 성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calcitonin의 발현이 감 소하고 반대로 CTR2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이는 TT 세포주에 calcitonin과 CTR2의 자가분비 조절 기전이 존재하며 이러한 조절기전이 TT 세포주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또한, dexamethasone이 calcitonin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calcitonin과 CTR2의 자 가분비 조절기전에 영향을 미쳐 TT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 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한편, dexamethasone을 사용 한 다른 연구에서는 흥미로운 관찰결과를 제시한 바 있는데, dexamethasone이 CA-77 (rat medullary thyroid cancer cell line) 세포주에서 분비되는 alpha-amidating activity를 50~70%까지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반면, calcium과 같은 calcitonin secretogogue를 처리하면 CA-77 세포주에서 분 비되는 alpha-amidating enzyme activity가 증가하는 것으로 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과는 CA-77 세포주의 성장과 caltonin의 분비가 alpha-amidating activity에 연관되어 있으 며, dexamethasone과 같은 호르몬이 이러한 alpha-amidating activity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CA-77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 함을 시사한다[6].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종합해 볼 때, dexamethasone은 갑상선 수질암 세포주에서 calcitonin의 합성 및 분비와 관련된 다양한 단계에 작용함을 추측할 수 있다. Dexamethasone과 관련된 또 다른 연구에서도 갑상선 수 질암 세포의 성장에 호르몬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 하는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C-cell에서의 calcitonin 분비는 calcium signaling 이외에도 intracellular 3'5'-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에 의해 촉진된다. 흥미 갑상선 수질암 세포주 증식에 영향을 주는 물질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