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ing BMI Cutoff Points of Korean Adults Using Morbidity of BMI-related Diseases

Jong Heon Park
{"title":"Measuring BMI Cutoff Points of Korean Adults Using Morbidity of BMI-related Diseases","authors":"Jong Heon Park","doi":"10.7570/KJO.2011.20.1.36","DOIUrl":null,"url":null,"abstract":"연구배경: 2000년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회의는 인종적 차이를 고려한 아시아인들의 체질량지수 기준을 재 정의하여 발표하였고, 대한비만학회도 이 재정의 기준을 바로 수용하여 한국에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인의 체질량지수와 관련 질환 이환율 사이 상관성을 성・연령별로 파악하고, 질환 이환의 위험도가 현저 하게 증가하는 시점의 체질량지수 변별점을 추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1998년 11~12월(제1기), 2001년 11~12월(제2기), 2005년 4~6월(제3기), 2007년 7~12월(제4~1기)에 수행 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자료 및 설문조사 자료(총 23,671명)를 사용하였다. 교육수준, 흡연을 통제하여 체질량 지수와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골관절염, 천식 등 질환군 사이의 성・연령에 따른 편상관계수를 구하였 고, 이들 중 유의한 질환 이환율을 대상으로 ROC 곡선 분석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의 변별점을 구하였다. 결과: 단일 질환 이환율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보다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중 한 가지 이상의 질환 에 이환된 경우를 기준으로 최적 변별점을 추정했을 때 AUC 값이 가장 높았다. 또한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갖는 질환 이환율을 기준으로 추정된 한국 성인의 체질량지수 최적 변별점은 23.0~24.5 kg/m 2 사이에서 추정되었고, 성.연령구간별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추정된 한국인의 체질량지수 최적 변별점은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회의에서 재정의했던 과체중 기준과 유사한 값이다. 이 결과는 체질량지수 기준 재정의가 한국 성인에게도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 이라는 점을 지지하고 있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중심단어: 체질량지수 변별점, 비만 관련 질환, ROC 곡선, 국민건강영양조사","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20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1-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9","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70/KJO.2011.20.1.3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9

Abstract

연구배경: 2000년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회의는 인종적 차이를 고려한 아시아인들의 체질량지수 기준을 재 정의하여 발표하였고, 대한비만학회도 이 재정의 기준을 바로 수용하여 한국에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인의 체질량지수와 관련 질환 이환율 사이 상관성을 성・연령별로 파악하고, 질환 이환의 위험도가 현저 하게 증가하는 시점의 체질량지수 변별점을 추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1998년 11~12월(제1기), 2001년 11~12월(제2기), 2005년 4~6월(제3기), 2007년 7~12월(제4~1기)에 수행 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자료 및 설문조사 자료(총 23,671명)를 사용하였다. 교육수준, 흡연을 통제하여 체질량 지수와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골관절염, 천식 등 질환군 사이의 성・연령에 따른 편상관계수를 구하였 고, 이들 중 유의한 질환 이환율을 대상으로 ROC 곡선 분석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의 변별점을 구하였다. 결과: 단일 질환 이환율을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보다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중 한 가지 이상의 질환 에 이환된 경우를 기준으로 최적 변별점을 추정했을 때 AUC 값이 가장 높았다. 또한 체질량지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갖는 질환 이환율을 기준으로 추정된 한국 성인의 체질량지수 최적 변별점은 23.0~24.5 kg/m 2 사이에서 추정되었고, 성.연령구간별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추정된 한국인의 체질량지수 최적 변별점은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회의에서 재정의했던 과체중 기준과 유사한 값이다. 이 결과는 체질량지수 기준 재정의가 한국 성인에게도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 이라는 점을 지지하고 있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중심단어: 체질량지수 변별점, 비만 관련 질환, ROC 곡선, 국민건강영양조사
利用BMI相关疾病发病率测定韩国成人BMI分界点
研究背景:2000年世界卫生组织西太平洋地区会议重新定义并发表了考虑人种差异的亚洲人体质指数标准,大韩肥胖学会也正确接受了该财政标准,开始适用于韩国。据此,本研究的目的是根据性别和年龄来掌握韩国人的体质指数和相关疾病汇率之间的相关性,推测疾病转移危险度显着增加时的体质指数辨别点。方法:使用1998年11~12月(第一期),2001年11~12月(第二期),2005年4~6月(第三期),2007年7~12月(第4~1期)国民健康营养调查的体检资料及问卷调查资料(共23671人)。教育水平,控制吸烟,体质指数和高血压、糖尿病、高胆固醇血症、关节炎、哮喘等疾病军之间的性·年龄带来的传达员篇相关系数,其中,留意疾病이환율为对象,利用roc曲线分析辨别体质指数的分传达员。结果:与单一疾病以汇率为标准进行分析时相比,以高血压、糖尿病、高胆固醇血症中有一种以上疾病转移的情况为标准,推测最佳辨别点时AUC值最高。另外,以身体质量指数和有显著相关性的疾病汇率为基准,韩国成年人的身体质量指数最佳辨别点在23.0~24.5 kg/m 2之间。各年龄层的差异并不明显。结论:本研究推测的韩国人体质指数最佳辨别点与世界卫生组织西太平洋地区会议裁定的超重标准相似。该结果支持了以身体质量指数为标准的财政也将有效适用于韩国成年人。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中心词:辨别体质指数分,肥胖相关疾病,roc曲线,国民健康营养调查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