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공급망 내 파트너사 간 갈등관리가 파트너십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authors":"Yoonhee Ham, Sang-Hwa Song","doi":"10.15735/kls.2019.27.4.002","DOIUrl":null,"url":null,"abstract":"대리인 이론에 따르면 공급망을 구성하고 있는 기업 간 거래과정에서 모두 독립적 주체로서 각 개인이 속해있는 집단의 이해를 추구하고, 불필요한 위험을 회피하며, 제한적인 합리성을 가지고 완전하지 못한 정보를 처리하게 되면서 갈등이 발생하고 파트너십 관계 및 거래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공급망관련 연구는 파트너십과 성과와의 관계에만 중점을 두고 많은 연구가 진행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하는 갈등관리 요인을 활용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급망 내 기업 간 거래과정에서 갈등관리와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갈등관리가 파트너십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n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PLS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공급망 내 갈등관리가 파트너십 요인인 협력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지만 나머지 7가지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모두 채택되었기 때문에 갈등관리가 파트너십 및 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공급망 내 파트너십과 더불어 갈등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갈등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기업의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35/kls.2019.27.4.00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대리인 이론에 따르면 공급망을 구성하고 있는 기업 간 거래과정에서 모두 독립적 주체로서 각 개인이 속해있는 집단의 이해를 추구하고, 불필요한 위험을 회피하며, 제한적인 합리성을 가지고 완전하지 못한 정보를 처리하게 되면서 갈등이 발생하고 파트너십 관계 및 거래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공급망관련 연구는 파트너십과 성과와의 관계에만 중점을 두고 많은 연구가 진행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하는 갈등관리 요인을 활용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급망 내 기업 간 거래과정에서 갈등관리와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갈등관리가 파트너십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PLS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공급망 내 갈등관리가 파트너십 요인인 협력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지만 나머지 7가지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모두 채택되었기 때문에 갈등관리가 파트너십 및 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공급망 내 파트너십과 더불어 갈등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갈등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기업의 성과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