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reased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during Accurate Eyewitness Memory Retrieval: An Exploratory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Study

Keunsoo Ham, Ki Pyoung Kim, Hojin Jeong, S. H. Yoo
{"title":"Increased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Activation during Accurate Eyewitness Memory Retrieval: An Exploratory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Study","authors":"Keunsoo Ham, Ki Pyoung Kim, Hojin Jeong, S. H. Yoo","doi":"10.7580/KJLM.2018.42.4.146","DOIUrl":null,"url":null,"abstract":"최근 들어, 목격자들의 진술의 진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 들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예, 뇌파)을 조사하여 목격자 기억 을 평가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억 복귀(memory reinstatement) 모델[1]에 의하면 부호화를 할 때 활성화되 었던 두뇌의 활성화 패턴은 저장되며, 그 정보를 인출할 때 재활성화된다. 이 관점에서 목격하지 않은 장면들에 대한 정 보들은 두뇌에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목격하지 못한 정 보를 처리할 때의 두뇌 활성화 패턴은 목격한 장면을 인출할 때 발생하는 두뇌의 활성화 정도와 다를 것이라 예측할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목격한 자극과 목격하지 않은 자극을 사용 해서 목격한 장면 또는 목격하지 못한 장면과 관련 있는 기억 단서에 의해 발생하는 두뇌 활성화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 결 Korean J Leg Med 2018;42:146-152 https://doi.org/10.7580/kjlm.2018.42.4.146","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18.42.4.14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최근 들어, 목격자들의 진술의 진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 들의 신경생리학적 반응(예, 뇌파)을 조사하여 목격자 기억 을 평가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억 복귀(memory reinstatement) 모델[1]에 의하면 부호화를 할 때 활성화되 었던 두뇌의 활성화 패턴은 저장되며, 그 정보를 인출할 때 재활성화된다. 이 관점에서 목격하지 않은 장면들에 대한 정 보들은 두뇌에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목격하지 못한 정 보를 처리할 때의 두뇌 활성화 패턴은 목격한 장면을 인출할 때 발생하는 두뇌의 활성화 정도와 다를 것이라 예측할 수 있 다. 본 연구에서는 목격한 자극과 목격하지 않은 자극을 사용 해서 목격한 장면 또는 목격하지 못한 장면과 관련 있는 기억 단서에 의해 발생하는 두뇌 활성화의 차이를 조사하고, 이 결 Korean J Leg Med 2018;42:146-152 https://doi.org/10.7580/kjlm.2018.42.4.146
在准确的目击者记忆检索过程中增加腹外侧前额叶皮层的激活:一项探索性功能近红外光谱研究
最近,越来越多的人试图通过调查他们的神经生理学反应(例如脑电波)来评估目击者的记忆,以评估目击者陈述的真伪。根据memory reinstatement模型[1],编码时被激活的大脑的激活模式会被储存,提取信息时被重新激活。从这个观点来看,由于对没有目击的场面的情报没有储存在大脑中,因此可以预测,处理没有目击的情报时的大脑活性化模式与提取目击场面时产生的大脑活性化程度有所不同。本研究中对目睹的刺激和不刺激目击使用不得对目睹的场面或目睹的场面和有关的记忆线索被发生的大脑活性化差异,洁korean j leg med 2018; 42: 146 - 152 https: / / doi。org / 10 . 75 / kjlm 2018 42。4 . 146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