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예쎄데와 뺄양의 여래장에 대한 상이한 이해","authors":"차상엽","doi":"10.21482/jbs.53..201712.251","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에서는 예쎄데의 견해의 구별과 뺄양의 방편과 지혜를 구족한 등불을 통해 9 세기 티벳인들의 여래장 이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n첫 번째, 견해의 구별의 둔황 사본에서는 “ 모든 중생이 여래장이다(sems can thams cad...","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3..201712.25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고에서는 예쎄데의 견해의 구별과 뺄양의 방편과 지혜를 구족한 등불을 통해 9 세기 티벳인들의 여래장 이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견해의 구별의 둔황 사본에서는 “ 모든 중생이 여래장이다(sems can thams c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