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산스크리트 복합어(samāsa)의 어순에 관한 고찰-upasarjana, pūrvanipāta 개념을 중심으로","authors":"김현덕","doi":"10.21482/jbs.53..201712.279","DOIUrl":null,"url":null,"abstract":"산스크리트어에서는 카라카(kāraka)라는 특유한 의미론 관계를 표시하는 개념과 이개념에 의해 결정되는 표지인 비박티(vibhakti)를 통해 문장의 의미가 전달되는 까닭에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어순은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단어(pada)와 단어의 의미론적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어(samāsa)의 경우,...","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3..201712.27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산스크리트어에서는 카라카(kāraka)라는 특유한 의미론 관계를 표시하는 개념과 이개념에 의해 결정되는 표지인 비박티(vibhakti)를 통해 문장의 의미가 전달되는 까닭에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어순은 큰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단어(pada)와 단어의 의미론적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어(samāsa)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