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대한예방한의학회지에 게재된 체계적 문헌고찰의 방법론 및 보고 질에 대한 평가","authors":"김주영, 조장철, 임승현, 정소망, 류철희, 김종덕","doi":"10.25153/spkom.2019.23.2.006","DOIUrl":null,"url":null,"abstract":"목적: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른 삶의 양적증가와 더불어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호르몬 대체요법이 폐경기여성에 있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많은 보고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폐경기여성의 삶의 질에 대한 평가도구의 하나인 WHQ를 이용하여 호르몬 대체요법에 따른 삶의 질 향상유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4월까지 폐경증상이나 골다공증을 주소로 내원한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은 여성과 받지않은 여성을 각각 20명씩 무작위 선정하여 내원 당시, 그 후 3개월과 6개월에 WHQ로 평가하였다. 결과: WHQ 각 항목별 시간에 따른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치료군에 있어서 성기능과 월경항목을 제외한 모든항목에서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고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폐경기 여성에 있어서 호르몬 대체요법은 폐경증상의 개선과 함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PeriodicalId":288072,"journal":{"name":"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volume":"5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5153/spkom.2019.23.2.006","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목적: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른 삶의 양적증가와 더불어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호르몬 대체요법이 폐경기여성에 있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많은 보고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폐경기여성의 삶의 질에 대한 평가도구의 하나인 WHQ를 이용하여 호르몬 대체요법에 따른 삶의 질 향상유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7년 1월부터 4월까지 폐경증상이나 골다공증을 주소로 내원한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은 여성과 받지않은 여성을 각각 20명씩 무작위 선정하여 내원 당시, 그 후 3개월과 6개월에 WHQ로 평가하였다. 결과: WHQ 각 항목별 시간에 따른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치료군에 있어서 성기능과 월경항목을 제외한 모든항목에서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고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폐경기 여성에 있어서 호르몬 대체요법은 폐경증상의 개선과 함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